경기도에 지난해 21대의 '유령소방차'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사용하지도 않는 소방차에 1천번 넘게 출동 명령이 내려지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재난·사고현장에선 한치의 오차도 허용돼선 안 되지만 경기도에선 실제 출동하는 차와 시스템이 일치하지 않는, 구멍난 관리체계가 수개월 간 구동돼왔다.

감사원은 소방청에 대한 '재난안전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실태' 감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감사원이 파악한 내용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과거 국민안전처는 소방장비를 통합관리하는 '장비관리시스템'을 구축했다.

그러나 해당 시스템과 전국 시·도 소방본부에서 현장 출동 등에 활용 중인 긴급구조표준시스템 간 소방차량 분류 코드가 맞지 않는 등 연계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장비관리시스템 상에선 사용할 수 없는 차량으로 분류됐는데도 긴급구조시스템에선 출동 가능한 것으로 표기되는 등 엇박자가 났다.

감사원이 지난해 6월 30일 현재 장비관리시스템에 '불용(不用)' 상태로 돼 있는 경기도 소방차량 168대를 점검한 결과, 21대가 출동 가능 차량으로 분류돼 1천295차례 출동명령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명소방서 119구조대 소속 한 소방차량은 지난 2016년 11월 불용 결정돼 2017년 3월에 매각됐지만 4개월 후인 그 해 7월까지도 349번 출동 가능한 차량으로 분류돼 명령이 내려졌다.

존재하지 않는 엉뚱한 차량이 배정돼 다시 적합한 구조차량을 찾아 출동하느라 자칫 '골든타임'을 놓치거나 시스템 정보와는 맞지 않는 차가 실제 현장에 출동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감사원은 "출동차량 배정 기능이 잘못 작동돼 재난·사고 발생 시 소방차량의 출동이 지연되거나 허수(虛數) 출동이 이뤄지는 등 재난관리에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도재난안전본부 측은 "일선 소방서 감사 과정에서 이러한 상황을 확인해 즉각 시정조치했다"며 "시스템 상 오류가 있긴 했지만 이 때문에 실제 구조 활동에 크게 차질을 빚은 일은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소방청은 "시·도 소방본부의 시스템 상황을 명확히 파악해 연계 기능을 보완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