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5월 미세먼지 주의보 33회
뾰족한 해법없어 관련 공약 주목

시·도 넘나들며 하루 830만 통행
경기도~서울등 광역교통 '혼잡'


2018032501002042700097911
■숨 쉴 수 있는 자유,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라

몇 년 전만 해도 생소하던 공기청정기가 이젠 각 가정마다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됐다. 계절과 상관없이 창밖이 희뿌연 날이 화창한 날보다 더욱 많아졌다. 황사의 발원지인 중국 탓만 하기엔 우리 주변의 유발 요인도 수두룩하다.

지난해 1월부터 5월 사이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 횟수는 33회, 경보 발령횟수도 4회에 달한다.

미세먼지주의보가 발령되면 어린이·노약자·호흡기질환자·심혈관질환자는 외출을 자제하고, 학교는 야외수업이 금지되는데 다섯 달 중 한달 이상이 이에 해당된 셈이다.

이 때문에 경기도 차원에서 많은 대책이 나왔지만 뾰족한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현재까지는 마스크를 무료로 나눠주고, 미세먼지 발생 사업장의 노후시설 등을 개선해 주는 게 가장 큰 대책 중 하나다. 경기도의 경우 현재 도민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대책 아이디어까지 모집하고 있다.

경기도와 이웃한 서울시의 경우 어설픈 대책으로 여론의 뭇매만 맞았다. 1일 5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중교통 공짜운행'은 그 효과를 알기도 전에 해프닝처럼 막을 내렸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각 지자체의 협업을 통한 미세먼지 대책과 대응방안을 주문하고 있다. 특히 중국과의 협의도 필요한 사항인 만큼 외교적인 노하우도 필요하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도 어떤 후보가 미세먼지와 관련한 맞춤형 정책과 공약을 내놓을지 관심이다.

■출퇴근이 편안하고 안전한 경기도

각종 대형사고로 경기도와 서울을 잇는 광역버스의 입석이 여러 차례 문제가 됐지만 이는 사라지지 않고 있다.

2층 버스라는 고육책으로 한번에 더 많은 승객을 나르는 해법이 나왔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다. 광역버스 증차에 키를 쥔 서울시는 경기도의 요청에 묵묵부답이다.

이 때문에 평일 아침저녁이면 길게 늘어서 버스를 기다리고, 출근과 귀가가 늦지 않게 고속도로를 입석으로 타야만 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목격할 수 있다.

경기도 교통의 핵심은 광역교통이다. 수도권 통행의 14.1%인 830만 통행이 매일 시·도를 넘나들고 있다는 점에서도 이를 엿볼 수 있다.

경기연구원이 올초 도민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정책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시·지역·교통분야에서 '서울·경기도간 교통 혼잡 및 통근불편 해소'가 32%로 가장 높았다. 그만큼 출퇴근 스트레스가 많은 셈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도권 광역버스 증차와 좌석제 전환, 2층 버스 확대, 광역철도로의 수요 전환 등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대한 선행책은 수도권광역교통청을 신설하는 것이다. 각 지자체 별로 서로 입장이 다른 광역교통체계를 종합적으로 관할할 수 있는 정부기관이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현재 경기도지사 후보군들도 이같은 대책에는 이견이 없는 듯하다. 그러나 대중교통 공약이 도민들에게 우선시되는 핵심분야인 만큼, 공영제·준공영제 등 거시적 교통정책부터 노선 신설 등 미시적 대안까지 도민들에게 제시될 가능성이 높다.

/김태성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