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자동차부두_전경사진
평택항이 베트남과 태국 등 동남아 신규 항로를 개설하면서 동남아 교역의 거점 항구로 성장하고 있다. 사진은 평택항 자동차 부두 전경. /경인일보DB

베트남·태국 등 신규 항로 개설 '동남아 교역 거점 항구'로 급부상
동남아로 뱃머리 돌리자 물동량 첫 60만TEU 진입… 대중국 의존도 ↓

2018040401000389500019147
평택항이 베트남과 태국 등 동남아 신규 항로를 개설하면서 동남아 교역의 거점 항구로 성장하고 있다. 교역국 다각화로 90%대까지 치솟았던 대중국 의존도도 낮아지고 있다.

베트남은 문재인 대통령이 추진하는 신 남방정책의 핵심 국가로, 교역량은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2018040401000389500019142
평택항 수출 컨테이너 작업. /경인일보DB

5일 경기평택항만공사에 따르면 평택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지난 2016년 처음으로 62만3천TEU(TEU·twenty footer equivalent unit, 20피트(6.096m) 길이의 컨테이너 크기를 부르는 단위)를 돌파했다.

2011년 53만TEU, 2012년 51만7천TEU, 2013년 51만9천TEU, 2014년 54만6천TEU, 2015년 56만6천TEU 등 50만TEU대에 머무르다가 60만TEU대에 처음 진입했다. → 표1 참조


2018040401000389500019145
평택항 컨테이너 물동량이 60만TEU대를 넘어선 데는 베트남과 태국 등 동남아 신규 항로 개설이 주효했다.

2016년 4월(평택-부산-홍콩-베트남 하이퐁-중국 셔코우-인천-평택)과 8월(평택-광양-부산-베트남 호찌민-태국 람차방-태국 방콕-태국 람차방-베트남 호찌민-인천-평택) 등 동남아 신규 항로 개설 효과로 물류 시장에도 지각 변동이 일기 시작했다.

베트남과 태국 신규 항로가 개설된 첫해인 2016년 당시 중국 컨테이너 물동량은 56만9천TEU로 전체 물동량(62만3천TEU)의 91.4%에 달했다.

하지만 지난해 중국 점유율은 87.6%로, 1년 만에 80%대로 추락했다. 중국 물동량(56만3천TEU)은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등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소폭 줄었지만, 필리핀(4.9%), 베트남(3.5%), 태국(0.9%)의 비중이 커졌기 때문이다. → 표2 참조


실제 태국은 2016년 1천TEU에서 지난해 5천TEU로 1년 새 4배 넘게 치솟았다. 같은 기간 필리핀(1만7천TEU→3만1천TEU)과 베트남(1만5천TEU→2만2천TEU)도 각각 84%, 49%의 성장세를 보였다.

태국과 베트남 교역량 급증은 삼성전자와 LG전자의 현지 생산 공장 확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생산 공장이 평택시 고덕면과 진위면에 들어서면서 집약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태국과 베트남발 전기기기, VTR·TV, 자동차 부품 등이 대거 들어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태국과 베트남 현지 공장에서 생산한 기계제품을 한국으로 역수입하는 것이다.

평택항 동부두 수출 야적장에서 줄지어 대기 중인 수출 차량. /경인일보DB

반대로 베트남과 태국 현지 공장 건설에 필요한 건축 자재, 철 스크랩, 설비류 등이 수출되고 있다.

또 국내에서 유통되는 필리핀산 바나나의 65%가량이 평택항을 거쳐 전국으로 판매 중이다.

필리핀은 바나나, 파인애플 등 대표적인 과일 교역국으로, 세계적인 청과물 회사인 스미후루사와 Dole(돌)사가 평택 포승국가산업단지에 들어서 교역량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김종호·조윤영기자 jy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