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핀테크 주요 트렌드 및 시사점'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핀테크 평균 이용률은 전세계 평균 수준에 겨우 턱걸이를 하고 있다.
금감원은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언스트앤영(EY)이 발표한 '2017년 핀테크 도입지수'를 인용해 지난해 전 세계 20개국의 핀테크 평균 이용률은 33%였으며, 우리나라는 32%로 겨우 평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EY는 2015년부터 핀테크 이용률이 가장 높은 20개국에서 인터넷 적극 사용자 2만2천명을 대상으로 핀테크 이용률을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핀테크 평균 이용률은 중국(69%)이 전세계에서 압도적으로 1위를 달렸고, 뒤이어 인도(52%)나 브라질(40%), 호주(37%), 멕시코(36%) 등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는 핀테크 평균이용률이 낮을 뿐 아니라 '잘나가는' 핀테크 기업들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글로벌 회계·컨설팅기업인 KPMG와 핀테크 벤처투자기관인 H2벤처스가 공동으로 발표한 '2017 핀테크 100'에 따르면 핀테크 100대 기업은 미국 기업이 19개로 가장 많았고 호주(10개), 중국(9개), 영국(8개) 순이었다. 100대 핀테크 기업 중 한국 기업은 '비바리퍼블리카' 뿐이었다.
비바리퍼블리카는 모바일 앱 '토스'를 통해 간편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회사다. 지난 2015년 2월에 '토스'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다음 해인 2016년 말에는 구글플레이 '올해의 베스트앱' 대상을 수상하며 큰 관심을 받기도 했다.
지난해말 기준 월 송금액 1조원, 누적 송금액 10조원을 넘어서는 성장을 이뤄냈고, 이같은 활약을 인정받아 지난달 '2018 정보통신의 날'에 이승건 대표가 대통령 표창을 받아 주목을 받았다.
한편, '핀테크(fintech)'는 이름 그대로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이 결합한 서비스 또는 그런 서비스를 하는 회사를 가리키는 말로, 최근 수년 사이에 차세대 핵심기술로 급격하게 떠올랐다. 핀테크 분야로는 지급 결제, 금융데이터 분석, 금융 소프트웨어, 플랫폼 등이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