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 개선 염두 섬 활성화 방안 모색
바이오 등 4차산업혁명 대응 산업 전략도


인천시가 남북 관계 개선과 4차 산업혁명 등 안팎의 변화 흐름에 맞게 지역발전 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남북 관계 경색으로 개발이 제한돼 왔던 접경·도서 지역 개발이 활발해질 전망이다.

인천시는 지역 특성을 살린 중장기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인천시 지역발전 5개년 계획'을 수립한다고 23일 밝혔다. 계획 수립 용역은 인천연구원이 맡아 진행하기로 했다.

계획은 국가 계획에 따라 이미 수립된 지역균형계획과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인천만의 특성을 살린 맞춤형 모델이 담길 예정이다.

지역 맞춤형 사업 모델로 접경·도서 지역 개발을 포함했다. 서해 5도, 강화 지역은 접경 지역이라는 이유로 각종 개발이 제한돼 왔다.

시는 남북 관계가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보고 공동어로구역, 남북평화협력지대 등 다양한 섬 지역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인천 산업의 특성을 살린 지역발전 전략도 세운다. 시는 신도시와 구도심의 격차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이번 계획에서 군·구 간 연계 협력 사업을 발굴하기로 했다.

또한 구도심에 밀집해 있는 지역 산업단지를 활성화하고 바이오, 로봇 등의 새로운 산업에 따른 투자 계획도 세울 예정이다. 타 시도와 연계한 사업 연계도 구상하고 있다.

인천시 주도의 지역발전계획 전략 사업을 발굴해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하고 미래 비전을 제시하겠다는 것이 이번 계획의 궁극적인 목표다.

시는 오는 7월부터 임기를 시작하게 되는 시장의 공약 사업도 지역 발전 계획 용역 사업에 반영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중앙정부에서 수립하고 있는 국가균형발전 계획과 연계한 지역 개발 전략을 세우되 접경 지역과 구도심 개발로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