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답안지 분실, 한점 의혹 없이 밝혀야
현재 추정뿐 '미궁' 책임소재 숙제… 담당부서 늦은 감사의뢰 지적도
입력 2018-07-11 22:18
수정 2018-07-11 20:27
지면 아이콘
지면
ⓘ
2018-07-12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인천시 공무원 시험 답안지 분실사태가 자칫 명확한 규명 없이 미스터리로 남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답안지 분실경위와 책임 소재를 정확히 가려내 이제라도 한 점 의혹 없이 사태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천시가 답안지 분실을 처음 인지한 5월 24일 이후 50일이 지났지만, 현재 분실 경위를 추정만 하고 있을 뿐 속 시원하게 밝혀내지는 못하고 있다.
어느 단계에서 없어졌는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선까지 책임을 물을지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번 인천시 공무원 임용 시험 과정을 살펴보면 문제의 답안지가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하는 공간은 3곳으로 압축된다. 피해 응시생이 시험을 본 '교실', 답안지를 한데 모아 밀봉하는 시험장 내 '운영본부', 채점을 위해 답안지를 보관하는 인천시청 인근 빌딩 내 '편집실'이다.
이 가운데 분실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은 운영본부다. 시험이 열린 부평의 한 여자중학교는 교실 30곳이 시험장으로 활용됐고, 1개 교실은 시험을 총괄하는 운영본부로 쓰였다.
운영본부는 시험이 끝난 직후 30개 교실 감독관 60명과 본부 요원 17명(회수·검수·책임관)이 모두 모이는 곳이다.
답안지가 감독관에서 본부 회수 요원, 검수 요원, 책임관을 차례로 거쳐 종이 상자에 최종 밀봉되는 공간이기도 하다.
폐기 답안지와 결시생 문제지는 폐기용 상자에 따로 버려진다. 인천시는 이 과정에서 정답 답안지가 폐기용 상자에 휩쓸려 갔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는 추정일 뿐 정확하게 누구의 손을 거쳐 어떻게 사라졌는지는 여전히 미궁이다. 시험장과 운영본부에는 CCTV가 설치되지 않았고, 폐기용 상자도 모두 소각됐다.
결국 인천시와 행안부의 감사·조사 담당자는 수십 명의 관련자 진술을 꼼꼼히 따져 명확하게 책임 소재를 가려야 할 숙제를 떠안았다.
이 때문에 인천시 채용 담당 부서가 감사의뢰를 너무 늦게 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시는 사태를 인지하고 한 달이 지난 6월 25일에서야 감사관실에 책임 소재 규명을 위한 감사의뢰를 했다. 외부에 알리지 않고 내부적으로 폐기 답안지를 찾느라 책임 소재 규명은 뒷전으로 밀렸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답안지 분실경위와 책임 소재를 정확히 가려내 이제라도 한 점 의혹 없이 사태를 마무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인천시가 답안지 분실을 처음 인지한 5월 24일 이후 50일이 지났지만, 현재 분실 경위를 추정만 하고 있을 뿐 속 시원하게 밝혀내지는 못하고 있다.
어느 단계에서 없어졌는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선까지 책임을 물을지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번 인천시 공무원 임용 시험 과정을 살펴보면 문제의 답안지가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하는 공간은 3곳으로 압축된다. 피해 응시생이 시험을 본 '교실', 답안지를 한데 모아 밀봉하는 시험장 내 '운영본부', 채점을 위해 답안지를 보관하는 인천시청 인근 빌딩 내 '편집실'이다.
이 가운데 분실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은 운영본부다. 시험이 열린 부평의 한 여자중학교는 교실 30곳이 시험장으로 활용됐고, 1개 교실은 시험을 총괄하는 운영본부로 쓰였다.
운영본부는 시험이 끝난 직후 30개 교실 감독관 60명과 본부 요원 17명(회수·검수·책임관)이 모두 모이는 곳이다.
답안지가 감독관에서 본부 회수 요원, 검수 요원, 책임관을 차례로 거쳐 종이 상자에 최종 밀봉되는 공간이기도 하다.
폐기 답안지와 결시생 문제지는 폐기용 상자에 따로 버려진다. 인천시는 이 과정에서 정답 답안지가 폐기용 상자에 휩쓸려 갔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는 추정일 뿐 정확하게 누구의 손을 거쳐 어떻게 사라졌는지는 여전히 미궁이다. 시험장과 운영본부에는 CCTV가 설치되지 않았고, 폐기용 상자도 모두 소각됐다.
결국 인천시와 행안부의 감사·조사 담당자는 수십 명의 관련자 진술을 꼼꼼히 따져 명확하게 책임 소재를 가려야 할 숙제를 떠안았다.
이 때문에 인천시 채용 담당 부서가 감사의뢰를 너무 늦게 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인천시는 사태를 인지하고 한 달이 지난 6월 25일에서야 감사관실에 책임 소재 규명을 위한 감사의뢰를 했다. 외부에 알리지 않고 내부적으로 폐기 답안지를 찾느라 책임 소재 규명은 뒷전으로 밀렸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