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설땐 2조7천억원 순편익 발생"
입체적 환승체계 확대등 전략 제시
경기연구원과 인천연구원 등 수도권 교통 연구기관들이 정부와 수도권 광역단체장들이 공동 협력기로 한 수도권 광역교통청 설립 추진에 때맞춰 '광역교통청 설립'의 조속한 추진을 주장하고 나섰다.
한국교통연구원과 서울·경기·인천연구원은 23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에서 '수도권 광역교통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토론회에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광역교통청 설립을 위해 지난 19·20대 국회에서 관련법안을 대표 발의한 정병국(여주·양평) 바른미래당 의원과 홍철호(김포 을) 자유한국당 의원, 국토부 차관 출신의 맹성규(인천 남동갑)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참석, 축사와 인사말을 통해 조속한 추진을 요구했다.
모창환 한국교통연구원 박사는 '광역교통청 효과분석과 광역교통 행정체계'에 대한 주제 발표를 통해 대도시권 광역교통청이 신설되면 수도권에서 2조7천억원의 순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조응래 경기연구원 박사는 '수도권 광역환승체계 개선방안'에 대해 ▲입체적 환승체계 확대 ▲교통수단간 연계 강화 ▲수도권 주요 축별 환승거점 개발 ▲환승 체계 정비를 통한 도로교통문제 개선 ▲환승시설 건설에 있어 중앙정부 재정지원 확대 등 5개 전략을 제시했다.
김종형 인천연구원 박사는 '급변하는 인천시 교통여건과 수도권 광역교통'을 주제로 발표하고, 인천지역 내 대규모 교통패러다임의 전환이 지역을 넘어 광역교통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이어 토론에는 고준호 한양대 교수, 김시곤 서울과학기술대 교수, 류재영 항공대 교수, 성현곤 충북대 교수, 박무익 국토교통부 종합교통정책관, 김동욱 수도권교통본부 기획조정부장 등이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광역교통행정체계 개선방안을 내놓았다.
토론회에 참석한 의원들은 "여야를 떠나 수도권 및 대도시권 국민을 위한 법안을 조속히 추진할 수 있도록 국회 및 정부와의 협력을 이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앞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도 지난 17일 이재명 경기도지사, 박남춘 인천시장 등 서울·경기·인천 광역단체장들과 회동을 하고 광역교통청 설립 등 수도권 현안 해결에 협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정의종·김연태기자 kyt@kyeongin.com
[경기연·인천연 등 토론회]"수도권 광역교통청 설립 시급"
입력 2018-07-23 22:17
지면 아이콘
지면
ⓘ
2018-07-24 6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