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6곳·부산 8곳… 광역시 최저
"정보 적고 인프라 부족" 하소연
집중 지원 서울·경기로 빠져나가


인천에서 교육 분야 창업을 준비 중인 A(43)씨는 "창업하기가 이렇게 어려운 줄 몰랐다"고 했다.

창업 초보자로서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구상 중인 아이템에 보완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그리고 가장 중요한 투자는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등 궁금한 것들이 산더미처럼 많지만, 쉽게 해결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A씨는 "인천 창업 지원기관에 대한 정보가 적고 막상 상담을 받더라도 투자 유치 부분 등에 막히는 경우가 생긴다"며 "만 39세 미만 청년 대상 지원프로그램이 대부분이어서 아예 대상에서 빠지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그는 "창업 활성화에 대한 얘기를 많이 하는데, 인천의 창업 인프라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은 것 같다"며 "서울이나 경기도 쪽으로 관련 상담을 알아보고 있다"고 했다.

초기창업자 등을 상대로 컨설팅(보육)과 투자를 한 번에 지원하는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가 인천에 크게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정부 창업포털사이트 'K-스타트업'에 따르면 지난달 현재 인천에 등록된 '액셀러레이터'는 2곳에 불과하다. 서울(56곳)과 경기(9곳)는 물론 부산(8곳), 대구(6곳), 대전(11곳) 등 다른 광역시에 비해 크게 적다.

인천의 한 창업지원기관 관계자는 "서울과 경기 일부 지역에 액셀러레이터들이 집중되다 보니 인천지역 창업자에 대한 액셀러레이터들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인천지역에서 창업한 기업이 이들의 지원을 받기 위해 서울로 옮기는 경우도 있다"며 "인천에 액셀러레이터가 적다는 건 그만큼 인천의 창업자들이 지원받을 기회가 적다는 뜻"이라고 했다.

액셀러레이터는 초기창업자 선발·투자, 전문 보육 등의 역할을 하는 상법상 회사나 비영리법인을 말한다.

기존 공공기관 중심의 창업 지원은 대부분 창업자를 특정 공간에 모이게 해 정형화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그친다. 컨설팅과 함께 실질적인 투자 지원까지 이어지기엔 한계가 있다.

액셀러레이터는 창업 컨설팅과 투자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더욱 전문적이고 특화된 지원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봉만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부산의 경우 지역 제조업체와 함께 액셀러레이터를 육성하는 부분이 있다"며 "민관 협력을 통해 액셀러레이터를 육성하는 방안을 고민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이어 "역량 있는 액셀러레이터가 인천에 있을 수 있도록 하고, 현재 연 10억원 미만인 인천시 창업 관련 지원 예산 규모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