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낮시간 변경 지침 통보에
"시민들 불만… 차량많아 더 위험"
현장선 '비현실적 탁상행정' 반발
정부가 최근 환경미화원의 주간작업 원칙을 마련한 것을 두고 미화원들이 "현실에 맞지 않는 조치"라며 반발하고 있다. 근무시간 조정에 상당한 난항이 예상된다.
환경부는 지난 6일 주로 야간, 새벽 시간대인 환경미화원의 작업 시간을 낮 시간대로 변경하는 내용의 새로운 작업 안전 지침을 마련하고 이를 전국 자치단체에 통보했다.
미화원의 작업 안전 확보가 주된 목적이다. 약 4만3천여 명의 전국 일반·음식물·재활용 쓰레기 수거미화원, 도로 청소미화원이 적용 대상이다.
그런데 현장에서 근무하는 미화원들은 정작 이 같은 지침이 현실에 맞지 않는다며 반발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조치라는 게 미화원들의 공통된 얘기다.
현재 인천 지역에는 약 920명의 도로 청소 미화원이 근무하고 있는데, 이들의 근무 시간은 오전 5~9시, 오후 1~5시로 모두 동일하다.
시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근무 시간은 야간, 새벽 시간대로 정해져 있다. 대부분 민간 업체에 위탁 운영하는 일반·음식물·재활용 쓰레기 수거 작업도 통상적으로 오후 9시부터 작업이 이뤄진다.
인천 지역의 한 환경미화원은 "낙엽을 쓸 때 발생하는 먼지로도 민원이 나오는 상황인데, 어떤 미화원이 사람 많은 출근 길에 빗자루질을 할 수 있겠느냐"라며 "현장에서 시민들의 불만을 감당해야 하는 건 결국 미화원"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간 작업도 차량 통행이 많은 탓에 작업 안전을 장담할 수 없다. 이는 분명한 정부의 탁상 행정"이라고 불만을 나타냈다.
이들의 근무 시간은 지자체와 미화원들이 소속된 인천시청노동조합(이하 인천시노조)의 협의에 따라 정해진다.
인천시노조는 정부의 주간작업 지침이 현실 사정에 전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와 관련한 협상을 거부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내고 있어 향후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일부 자치단체는 조례로 폐기물 배출 시간을 야간으로 정하고 있어 이에 대한 조정까지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선 주간 작업 원칙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출근 시간대 혼잡으로 인해 주민 불편이 발생할 수 있는 점들을 감안해 주민들에게 이를 홍보·안내하고 문제점들을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승배기자 ksb@kyeongin.com
정부 '환경미화원 주간작업' 역풍 맞나
입력 2019-03-11 21:13
수정 2019-03-11 21:13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03-12 8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