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항제련소 최대주주 경영권 확보
한국종합화학 나주공장 넘겨 받아
美합작 건축자재 실리콘공장 건설
전자·의료기기·반도체업계 진출

LG그룹의 약진은 재벌규제가 개시된 1980년대에도 계속됐다.
1981년 9월 서울 여의도에 연건평 4만8천평에 지상 34층의 쌍둥이빌딩을 착공했고 1982년 12월에는 유서 깊은 한국광업제련(장항제련소)의 경영권을 확보했다.
장항제련소는 일제 하인 1934년 12월 조선총독부가 국내에서의 금 생산증가를 획책할 목적하에서 국영기업으로 설립한 조선제련에서 비롯됐다.
1935년부터 충남 장항에 대규모 제련소를 건설하고 금 생산에 착수했으나 해방 이후 상공부 직영업체로 국유화돼 국영기업체로 운영된 뒤 1962년 한국광업제련공사로 재설립됐다.
>> 여의도 쌍둥이빌딩 착공
이후 소유권이 한국산업은행, 대한전선, 풍산금속 등으로 이전되는 와중에 명칭도 삼성 광업, 한국광업제련 등으로 변경됐다.
1982년 온산동제련소와의 통합을 계기로 50%의 유상증자를 단행했으나 대주주인 대한전선과 풍산금속은 투자 매력이 없을 것으로 판단, 증자에 참여치 않았다.
대신 LG그룹이 증자분 62억1천210원을 부담, 한국광업제련(현 LS니꼬동제련)의 최대주주(53.7%)가 됐다.
1984년 3월 한국종합화학의 나주공장을 인수해 (주)럭키의 사업부문을 확충했다. 나주공장은 호남비료의 제2 질소비료공장으로 설립·운영하다가 1982년 5월 한국종합화학의 옥탄올공장으로 전환했지만 경영 부실로 정부는 이 공장을 분리해 (주)럭키에 매각했던 것이다.
당시 (주)럭키는 제품생산에 필요한 옥탄올의 안정적 확보가 절실했으나 새로 공장을 건설할 경우 최소 500억원 이상의 건설비와 공사기간만 2년여 정도 소요될 것으로 추정됐다.
인수 당시 나주공장은 옥탄올 연 5만5천t, 부탄올 연 1만여t, 이소부탄올 연 7천200t의 최신설비를 갖춘 공장이었다.
(주)럭키는 나주공장을 인수함으로써 원료인 옥탄올의 안정적인 공급은 물론 옥탄올, 플라스틱 가소제, 플라스틱 원료, 플라스틱 가공공장을 수직적으로 결합, 국제적 규모의 종합화학 메이커로 도약하게 됐다.
(주)럭키는 1984년 9월에 미국 유수의 화공업체인 Dow Corning사와 50대50의 비율로 합작해서 럭키-DC실리콘을 설립하고 청주공장 내에 시설용량 2천700t의 실리콘공장을 건설했다.
건축자재인 실리콘의 국내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됐는데 생산기술과 원료는 다우코닝사가 공급하기로 했다.
당시 실리콘은 첨단의 화공제품으로 1970년대 초반 국내에 소개된 이래 수요가 증가일로에 있는 등 유망사업이었다. 더구나 장기적으로 원료인 Polymer 및 Monomer까지 생산할 수 있어 매력이 큰 때문이었다.
>> 다양한 사업영역 확대
1985년 6월에는 호남정유가 여수에너지와 정우에너지를 인수해 규모를 확대했으며 1986년 7월에는 럭키 소재가 대성 에탄올을 인수했다.
여수에너지와 정우에너지는 국내에 LPG를 독점적으로 수입하는 업체였으며 대성 에탄올은 주정(酒精)인 에틸알코올(에탄올)을 생산하는 업체이다.
한편 전자부문도 확충됐다. 1980년 7월 금성자판기를 설립하고 1983년 10월에는 금성전선이 한국중공업 경기도 군포공장을 인수합병해서 사업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1986년 9월에는 일본 히다찌(日立電機)와 합작해 금성히다찌시스템도 설립했다.
그 와중에서 첨단산업에의 진출도 획책하여 1984년 2월에 금성전선이 금성광통신을 설립했다. 그해 3월에 금성통신은 의료기기 첨단화 및 전자화 시대에 대비해 금성의료기를 설립했다.
금성반도체는 미국 하니웰사와 컴퓨터제조기술 도입계약을 체결, 1984년 5월에 금성하니웰을, 1987년 1월에는 미국 EDS와 합작으로 STM(Systems Technology Management Co.)을 각각 설립한 것이다.
/이한구 경인일보 부설 한국재벌연구소 소장·수원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