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조망 최적지에 조성된 김포한강야생조류생태공원 전경. 윤순영 이사장이 아니었으면 아파트로 뒤덮일 수도 있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
'수로 침식 방지사업비' 시의회 통과
1년여간 환경영향 재평가 이끌어 내
국내 최대 도래지에 단지 조성 막아
최근 김포시의회에서 김포한강야생조류생태공원(이하 조류생태공원) '수로 침식 방지시설 설치사업'을 위한 추경예산 5억4천만원이 통과됐다.
공원 내에 한강물을 안정적으로 순환시키고 새먹이 농사가 잘 이뤄지도록 공원 한쪽 낱알들녘 수평을 맞추는 사업으로, 지난 2015년 공원이 준공된 이래 이처럼 대대적으로 새들의 서식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예산이 세워진 건 처음이다.
예산 편성을 주도한 이는 윤순영(65) 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이었다. 윤 이사장은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로 김포시 운양동에 조성된 조류생태공원에 아파트숲이 들어서는 것을 막아낸 주인공이다.
원래 62만8천여㎡(19만평)에 이르는 공원 부지에는 A기업의 농장이 운영되고 있었다. 2001년 김포한강신도시가 추진되는 과정에서 이 부지만 신도시계획에서 쏙 빠져 있었다.
철새 도래지인 김포 홍도평을 평생 렌즈에 담아온 윤 이사장은 당시 신도시 건설을 위한 환경영향평가 결과에서 중대한 허점을 발견했다.
멸종위기종 재두루미가 분명히 날아드는 위치인데도 발견된 적이 없다는 식의 내용을 문제 삼아 1년에 걸쳐 환경영향평가를 다시 하게 만들었다.
조류보호협회 이사장 자격으로 그는 A기업 농장까지 신도시계획에 포함시키고 넓어진 면적 만큼 조류생태공원을 조성하라고 중앙부처에 줄기차게 요구, 기어이 국토부와 환경부를 움직였다.
윤 이사장은 "서울과 가깝고 한강이 눈앞에 조망되는 A기업 부지가 신도시계획에서 제외됐다고 가정해 보자. 농장(현 조류생태공원) 바로 앞까지 아파트가 빽빽이 들어섰지 않았느냐"면서 "결국 해당 부지는 환경영향평가가 무의미해졌을 것이고, 지금쯤 대규모 개발업자들이 달려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물원과 차원을 달리하는, 국내 최초로 인간과 야생동물이 공생하는 광활한 생태공원의 탄생비화다.
김포한강야생조류생태공원은 새들뿐 아니라 김포시민들의 안식처가 됐다. 다만 공원의 주인공이 새들이라는 점은 잊지 말아야 한다고 그는 강조한다.
윤 이사장은 "한강하구의 짠물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농업용수가 공급돼야 새들이 제대로 서식할 수 있고 공원의 성패가 달려 있다"면서 "이와 함께 한강물도 그대로 공원 내부에 흐르게 함으로써 한강하구의 다양한 생태도 품어야 할 것"이라고 새들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