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43.jpg
먹이 훈련 중인 따오기들 /연합뉴스=환경부 제공

국내에서 멸종됐던 따오기를 야생에서 다시 볼 수 있게 된다. 중국에서 도입한 한 쌍으로 복원에 나선 지 10년 만이다.

환경부와 문화재청, 경상남도, 창녕군은 8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이자 천연기념물 제198호인 따오기를 22일 경남 창녕 우포 따오기복원센터에서 자연으로 방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1979년 비무장지대(DMZ)에서 사진이 찍힌 뒤로 야생 따오기는 남획과 농약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먹이 감소 등으로 국내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그러다 2008년 한중 정상회담 당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따오기 한 쌍을 기증하면서 복원 노력이 시작됐고, 2013년 시진핑 주석이 수컷 두 마리를 추가로 기증한 것을 계기로 복원 시도가 본격화했다.

환경부와 문화재청, 경상남도의 지원 속에 창녕 우포 따오기복원센터가 증식 복원에 나선 결과 따오기들은 현재 363마리로 늘어났다.

이번에 방사하는 따오기는 총 40마리다. 1979년 멸종된 지 40년 만에 방사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40마리의 따오기는 최근 3개월간 야생적응훈련장에서 비행, 대인·대물 적응, 먹이 섭취, 울음소리 적응 훈련 등을 받았다. 창녕군은 방사될 따오기에 위치추적기(GPS)와 가락지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위치를 파악할 예정이다.

또한 따오기가 질병에 걸리거나 다치면 올해 12월 창녕에 마련되는 천연기념물구조·치료센터에서 치료할 방침이다.

오는 22일 창녕에서는 야생 방사 행사가 열린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 정재숙 문화재청장, 김경수 경남지사, 한정우 창녕군수 등과 중국·일본의 정부·지방자치단체 관계자, 전문가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양형종기자 yang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