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 대공원 등 20㎞ 연계 계획
생태자원들 지리적 약점 극복 활용
환경단체 "되레 생태계 위협" 주장
해양데크 추가땐 갯벌 피해 불가피
인천시가 최근 소래습지생태공원 주변 활성화 계획을 발표하자 환경단체들이 환경을 훼손하는 불필요한 개발이라며 반대 입장을 내놨다.
이에 대해 인천시는 생태계 피해를 최소화한 환경자원 연계를 통해 관광 시너지 효과를 주장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4월 인천대공원~소래습지생태공원~시흥 물왕저수지까지 약 20㎞ 구간에 수도권 최대 생태 공간을 조성하겠다며 6개의 공원 주변 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앞서 남동구도 지난 3월부터는 소래지역 관광 인프라 구축을 위한 중장기 발전 방안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개발계획에 포함된 소래습지생태공원은 수도권 유일의 습지생태공원으로 과거 염전으로 사용됐다가 약 30년 전부터 저어새 등 멸종위기 조류 서식지이자 염생식물 군락지인 생태습지로 보전되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불필요한 개발 행위를 철저히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생태전시관과 조류관찰대 등을 갖추고 보전상태도 양호해 생태 공원 역할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사람을 끌어들이는 것은 오히려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환경단체들은 또 인천시가 공원 인근 공유수면에 해양 데크(deck)를 설치하려는 것을 두고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미 해양데크가 마련돼 있는 데다가 추가 설치에 따른 갯벌 훼손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가톨릭환경연대 관계자는 "인천시의 관광화 전략은 굉장히 위험한 발상이다. 생태공원을 일반 관광지처럼 생각해선 절대 안된다"며 "얼마나 더 많은 사람이 와야 하나. 생물 다양성을 어떻게 지키고 풍요롭게 할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와 남동구는 소래생태습지공원, 인천대공원, 소래포구 등 남동지역의 생태관광자원이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약점을 극복하고, 세 곳을 모두 연결해 시너지 효과를 얻겠다는 구상이다.
공원 내 친수 공간이 부족하다는 민원이 계속해서 제기된 만큼 추가 해양 데크 설치가 불가피하다는 게 인천시의 입장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지역 최대 생태 관광 자원인 소래지역이 지금까지는 활용이 미미했던 측면이 있다"며 "환경단체들과 계속해서 논의하면서 자연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한편 가톨릭환경연대 등 3개 환경단체, 인천시, 남동구, 강원모 시의원 등이 참석해 소래습지생태공원 개발 방향을 논의하는 간담회가 24일 시의회에서 열린다.
/공승배기자 ks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