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붉은 수돗물(적수)'사태에 대한 정부원인조사반이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반에선 수계 전환시 무리하게 역방향으로 물을 공급하면서 사고가 난 것으로 파악했다. 통상 수계전환에는 10시간 정도 충분한 시간을 갖고 대응해야 하지만 10분만에 밸브를 개방하면서 문제가 생겼다는 것이다. 특히 역방향으로 바꿀 때는 충격을 고려해 조심스럽게 다뤄야 하는데 갑작스럽게 밸브를 열면서 유속이 두 배 이상 빨라져 관벽에 붙어있던 물때가 떨어져 나갔다는 것이다.

환경부의 원인조사 결과를 보면 6월 하순부터 수돗물이 순차적으로 정상공급될 전망이지만 시민들의 우려는 여전하고 후유증도 심각하다. 인천시장은 연일 고개를 숙여 사과하고 있지만 피해 당사자들의 분노는 여전하다. 가장 실망스런 뼈아픈 대목은 충분히 예견된 사고를 막지 못했으며 안이하고 무책임한 태도 때문에 골든타임을 놓쳐 초동대처도 실패했다는 것이다. 수계전환시 매뉴얼을 준수하지 않은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고장난 탁도 측정기의 수치를 근거로 시민들의 호소를 귓전으로 흘려 연일 시민들의 분노를 키웠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상수관 밸브 개방시 정수 탁도가 먹는 물 기준을 초과했음에도 별도의 조치도 없이 수용가구로 공급한 극히 무책임한 행태도 드러났다.

공무원은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자리에 있다. 수돗물은 시민들의 건강과 위생에 직결되기 때문에 깨끗한 물 공급을 위해 그리고 수질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인천시는 정부의 원인 발표에 따라 책임을 물어 18일자로 상수도사업본부장과 공촌정수사업소장을 직위해제 하고, 외부 감사기관에 감사를 의뢰해 그 결과에 따라 추가 인사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그런데 관련 공무원을 징계하고 재교육을 통해 근무기강을 확립하면 제2, 제3의 수돗물 사태는 과연 발생하지 않을지는 의문이다.

이번 적수사태의 원인이 100% 인재라는 환경부 장관의 발언에도 책임을 피하려는 의도가 역력하다. 결국 송수관내의 이물질이나 침전물이 있어도 천천히 흘려보내기만 하면 된다는 진단이기 때문이다. 환경부도 이번 수돗물 사태에서 구조적 원인도 지적하고, 대안은 아니더라도 장기적 해결 방향이라도 제시해야 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정부도 인천시도 함구하고 있다. 인천시는 평소 상수관망 유지관리와 노후상수도관 교체를 제대로 하지 못했는지 이유가 있었을 것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