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 정박 대기오염물질 대량 배출
계측시스템 구축 2022년까지 목표
환경단체와 주기적 간담회 갖기로
인천항만공사가 인천항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50% 이상 줄이는 방안을 찾는다.
인천항만공사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체계 개선 및 특별법 시행에 따른 행동계획 수립 용역'을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용역 비용은 7천만원이며, 기간은 착수일로부터 150일이다.
항만 일대는 선박이 정박 중에도 화석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을 대량으로 배출한다.
국립환경과학원 조사에 따르면 2017년 인천항에서 측정된 초미세먼지(PM2.5)의 9.3%는 선박에서 배출됐다. 야드 트랙터와 트레일러가 배출하는 대기오염 물질도 상당한 수준이다.
해양수산부는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2년까지 항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절반 이상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인천항만공사는 2025년까지 인천항 미세먼지의 40%를 감축하겠다는 기존 계획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인천항만공사는 이번 용역을 통해 인천항에서 배출하는 미세먼지의 양을 계산하는 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한다. 또 2022년까지 인천항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절반 이상 저감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인천항만공사는 현재 추진하고 있는 미세먼지 배출 저감 조치가 타당한지도 검토한다.
이를 위해 인천항만공사는 최근 인천 지역 6개 환경단체와 간담회를 열고 미세먼지 감축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인천항만공사는 환경단체들과 정기적으로 간담회를 진행해 미세먼지 저감 대책 추진 실적을 점검할 방침이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종합적인 미세먼지 관리 체계를 만들어 2022년까지 절반 이상 줄이는 게 목표"라며 "용역 결과가 나오는 대로 종합대책을 세우고, 내년부터는 세부 실행 계획을 마련해 미세먼지 줄이기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인천항 미세먼지 절반이상 감소 머리 맞댄다
항만공사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체계 개선 및 특별법시행 용역' 추진
입력 2019-07-21 20:18
수정 2019-07-21 20:1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07-22 15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