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립시설등 35곳 임계점 수준 육박
구리·의정부·고양등 자체 처리못해
대체매립지 못찾으면 '대란' 불보듯

'쓰레기 산' 사태를 야기했던 각종 불법 폐기물에 이어 소각 시설이나 매립지로 옮겨지는 생활쓰레기도 이제는 안심할 수 없는 '임계점' 수준에 이르렀다.
오는 2025년 수도권 매립지 운영이 중단되고, 대체 매립지 확보 등 마땅한 대안이 없을 경우 또 다른 '쓰레기 산'의 역습이 우려된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수도권 매립지를 대신할 대체 매립지는 여전히 답보 상태다.
수도권 3개 시·도는 대체매립지를 찾기 위해 최근 용역연구를 진행하고 후보지 8곳을 추렸다.
주민 반발이 심할 것으로 예상돼 후보지 공개를 미룬 뒤 매립지 유치 지역 공모 방식을 택했지만 환경부와 경기도, 인천시, 서울시는 대체 매립지 확보 방안을 놓고 여전히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도는 26개 소각장과 9개소의 매립 시설(2017년 기준)을 갖추고 있지만 일부 지자체에서는 처리 용량이 전체 쓰레기 발생량을 따라가지 못해 일부는 수도권 매립지로 보내는 상황이다.
수도권 매립지 운영이 중단된 뒤 소각·매립 시설에 대한 대안이 나오지 않는다면 생활 쓰레기 대란도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한국폐기물협회에 따르면 도내에서 하루 평균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은 2013년 8천142t에서 2015년 8천908t으로 766t 늘어났다.
2017년에는 9천230t으로 다시 322t 증가했다. 경기 지역에서 수도권 매립지로 반입하는 생활폐기물도 2015년 18만2천201t, 2017년 21만6천611t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그래프 참조

이 와중에 일부 지자체는 생활폐기물 처리 용량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
실제 남양주와 구리시는 하루에 200t을 처리할 수 있는 소각시설과 소각 잔재물을 매립할 수 있는 시설을 공동 운영하지만, 전체 생활폐기물 처리는 불가능해 지난해 2만여t의 생활쓰레기를 수도권 매립지에 보내 매립했다.
의정부시도 하루에 200t을 태울 수 있는 소각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가동 능력(하루 170t 소각) 감소로 지난해 생활폐기물 3천300t을 수도권 매립지로 보냈다.
고양시도 1일 평균 300t을 소각할 수 있도록 하지만 정기 점검 등 사유가 발생할 경우 최근 3년 간 30% 가량의 생활폐기물을 수도권 매립지에 매립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인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소각 시설 수요도 늘고 있다"며 "수도권 매립지 운영이 종료되는 것에 대비해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심 중이나 마땅한 대안이 없다"고 했다.
/이원근·김동필 기자 lwg3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