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하가격 상승에 산정기준 논란될듯
北 멧돼지등 안심 못해 곳곳 제독차
타곳 의심사례 속출 감염경로 몰라
'재사육까지 최소 1년' 비관적 전망


인천시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인천 강화군의 모든 돼지농가에 대한 살처분을 최근 완료하고 본격적인 피해 복구에 돌입했다. 강화도에서 다시 돼지울음소리를 듣기까지는 최소한 1년이 걸릴 전망이다.

인천시와 강화군은 지난 주말 사이 ASF 발생농가 5곳을 비롯한 강화도 39개 농가 돼지 4만3천602마리에 대한 살처분을 마무리하고, 매몰지 관리에 들어갔다.

크고 작은 매몰지 30개가 농가 주변으로 조성됐고, 방역 당국은 악취 민원을 예방하기 위한 탈취 작업과 안전 울타리를 설치했다.

정확한 보상액은 산정되지 않았지만, 4만3천여 마리에 대한 보상 비용은 최소 15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돼지는 가임 여부와 암수, 성장 단계별로 가격이 다르게 매겨지는 데 보통 1마리당 35만원으로 책정된다. 정부가 80%를 부담하고 인천시와 강화군이 각 10%씩 부담한다.

하지만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돼지 출하 가격이 상승하는 시점이라서 보상금 산정 기준을 두고 피해 농가와 방역 당국 간 마찰이 예상된다.

인천시는 강화군의 돼지가 전멸했어도 남부지방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섬 안팎에 대한 방역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교동도에 북한 야생 멧돼지가 출몰한 사례가 있어 사육 돼지가 없더라도 방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군부대 제독차를 동원해 하천과 매몰지 주변을 방역하고 있고, 이동제한으로 처리하지 못한 분뇨는 생석회를 겹겹으로 도포했다.

강화도에서는 지난달 23일 송해면을 시작으로 불은면, 삼산면(석모도), 강화읍, 하점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줄줄이 발생했다가 지난달 27일부터는 의심 사례 외에는 확진 판정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지난 4일 서해 최북단 섬 백령도의 돼지농가에서 의심사례가 발생했으나 다행히 음성 판정이 나왔다.

강화군 피해 농가들이 돼지를 다시 사육하기까지는 1년 이상이 걸릴 수도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관련 지침에 따라 이동제한이 해제되고 40일 뒤 발생농장에서 단계별로 실험을 거쳐 60일 동안 이상이 없어야 주변 농가들도 돼지를 다시 들일 수 있다.

경기 남부를 지나 충청권까지 의심 사례가 계속 발생하고 있고 아직 감염경로가 파악되지 않았기 때문에 언제 사태 종식이 선언될지 가늠하기 어렵다.

인천시 관계자는 "보상금 외에 방역과 살처분에 많은 비용이 투입됐기 때문에 행안부에 특별교부세 지원을 요청한 상태"라며 "강화도에서 다시 돼지를 키우기 까지는 많은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