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국제여객터미널쪽 추진 난항
대책위 '연안항 매립 부지' 문의
항만공사 "특정업체 제공 어려워"
인천종합어시장 이전사업이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인천 연안부두에 있는 인천종합어시장을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 부지로 이전하는 방안은 인천시 도시계획에 막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어시장 상인들은 이전 부지를 찾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지만, 대안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6일 인천종합어시장과 인천항만공사 등에 따르면 '인천종합어시장 이전대책위원회' 위원들은 이달 초 인천항만공사를 방문해 인천 연안항 물양장 매립 부지로 인천종합어시장을 옮기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인천항만공사는 내년부터 수협중앙회 인천공판장 주변 해역을 매립할 계획으로, 위원들은 매립을 통해 생기는 1만7천㎡ 부지로 인천종합어시장을 옮길 수 있는지 인천항만공사에 문의했다.
인천항만공사는 인천종합어시장을 이곳으로 이전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으로 봤다.
인천항만공사나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이 매립을 진행할 경우 특정 업체에 임의로 부지를 제공하기 어려운 데다, 매립한 땅은 항만 부지이기 때문에 어시장이 들어설 수 없다.
수협중앙회나 어시장 상인들이 매립공사를 직접 시행하면 가능하지만, 어시장 상인들이 매립 비용을 마련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 중구 항동 7가에 1975년 문을 연 인천종합어시장은 9천700㎡ 부지에 500여 개 점포가 운영되고 있다. 건물이 노후화하고, 주차난이 심각해 이전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인천종합어시장 상인들은 10여 년 전부터 어시장 이전을 추진했으나, 마땅한 부지를 찾지 못해 난항을 겪어왔다.
그러다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 부지에 인천종합어시장을 포함한 해안특화상가와 주상복합 시설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우면서 사업에 탄력이 붙기 시작했다.
제1국제여객터미널은 내년에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할 예정이다. 하지만 올해 초 인천시가 제1국제여객터미널 등 66만8천㎡ 부지에 주거시설을 지을 수 없도록 하면서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인천종합어시장 한 상인은 "점포가 노후화한 탓에 방문객과 매출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며 "어느 곳이든 이른 시일 내에 이전할 수 있는 부지를 찾았으면 좋겠다"고 하소연했다.
인천종합어시장 이전추진대책위원회 박경서 위원장은 "이전 부지를 계속 물색하고 있으나, 어시장 자금이 부족하다 보니 마땅한 부지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인천시 등 관계기관이 적극적으로 움직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
인천종합어시장 이전 사업 상인들 동분서주에도 '답보'
입력 2019-11-26 21:27
수정 2019-11-27 13:3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11-27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