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까지 노후관 정밀조사 진행
수계전환은 교육 이수자에만 맡겨
정부가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로 드러난 노후 상수도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2년까지 노후관을 정밀 조사하고, 자동관리·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를 도입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28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95회 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수돗물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확정했다.
환경부는 지난 5월 발생한 인천 수돗물 사고는 운영인력의 전문성 결여, 사고대응 체계 미흡, 노후 상수도관 등 복합적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 사고였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현재 진행 중인 노후관리 정비 사업의 완료 시기를 기존 2028년에서 2024년으로 앞당겨 완료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연차별 착수 예정이었던 사업을 내년에 일괄착수해 2022년까지 노후관 정밀 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사전 위험요소 점검으로 수도시설의 수명을 예측하는 '생애주기 관리기법'을 도입해 유지·보수를 최소의 비용으로 추진하는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인천 수돗물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됐던 '수계전환'은 내년부터 관련 교육을 이수한 직원만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환경부는 또 수도시설 운영·관리 업무를 '전문직위'로 지정하고, 정수시설 운영관리 분야 자격증 제도를 신설할 계획이다.
수돗물 사고 전문 기관인 유역수도지원센터가 12월까지 4대강 유역별로 설치된다.
누구나 쉽게 수돗물 수질정보를 확인하는 '스마트상수도관리시스템'도 2021년까지 개발하기로 했다.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수질 감시 체계와 자동 관 세척 등 위기대응 시스템 등이 구축된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환경부, 적수 재발방지 대책 발표]'수돗물 안전' 스마트 관리체계 갖춘다
입력 2019-11-28 21:24
수정 2019-11-28 21:24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11-29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