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부 도심보다 백령도 더높게 측정
중국발 주요원인… 일부 단속 분통
市, 항의민원·문의전화 업무 마비
정부 '계절 관리제' 전면통제 예고
올겨울 처음 발령된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로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에 과태료가 부과되면서 인천시 관련 부서가 업무 마비 수준으로 혼란을 겪었다.
겨울철만 되면 공습하는 고농도 미세먼지의 원인이 중국에 있는데도 노후 경유차 단속만 강화하는 정부의 정책이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다.
10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9일부터 시 대기보전과에 걸려오는 배출가스 5등급 차량에 대한 문의와 민원성 전화가 하루 2천여 통에 달하고 있다. 한 직원에게 2시간 동안 걸려온 부재중 전화만 40통이 넘어 다른 업무를 볼 수조차 없는 상황이었다.
이날도 민원인들의 문의 등으로 전화가 내내 '불통'이었다. 주로 자신의 차가 5등급 차량에 해당하는지와 단속 시행 시기를 묻거나 과태료 부과에 대한 항의성 민원이었다.
시는 지난 6월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배출가스 5등급 차량에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조례를 제정해 이날 처음 단속을 시작했다.
시의 한 직원은 "지난 5월부터 미세먼지 저감장치 부착 지원팀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지만, 수일 째 전화가 수도 없이 와 걸려오는 전화의 10% 정도밖에 받지 못하고 있다"며 "환경부가 미세먼지 계절 관리제로 노후 경유차를 제한한다고 발표하면서 민원이 더 많아졌다"고 말했다.
이날 인천시의 시간당 초미세먼지 농도는 부평구 부평동은 최대 146㎍/㎥, 남동구 구월동은 최대 106㎍/㎥에 달했다. 그런데 인천에서 뱃길로 200㎞ 넘게 떨어진 백령도의 초미세먼지 수치도 시간당 130㎍/㎥까지 치솟았다.
공장 굴뚝이나 교통 체증이 없는 청정 섬 백령도의 지표는 미세먼지가 중국으로부터 유입됐다는 것을 증명한다.
실제 글로벌 대기오염 조사기관인 에어비주얼(AirVisual)의 대기오염지도를 보면 현재 중국에서 서풍 바람이 불면서 중국 동부 지역의 고농도 미세먼지가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대기오염지도는 포털 사이트에서 누구나 볼 수 있게 공개돼 이 지도를 본 시민들은 노후 경유차에 화살을 돌리는 단속에 분통을 터트릴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지난해 중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1990년 이래 사상 최고치(13.7GCO2e)를 경신했다는 UN 보고서가 나오기도 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미세먼지 계절 관리제(12~3월 시즌제)로 2월부터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을 전면 단속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달부터 옛 한양도성 인근 16.7㎢를 녹색교통지역으로 지정해 1년 내내 운행 제한을 실시해 혼란이 더 커지고 있다.
한편 환경부는 11일도 수도권·부산·대구·충남·충북·세종·강원 영서에 '관심' 단계(위기경보)를 발령하고, 각 지자체에서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