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벽두부터 인천지역 기초자치단체들이 개인정보 유출 등 컴퓨터 시스템의 보안 공백이 불가피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컴퓨터 운영체제인 윈도7의 보안서비스를 지원하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이를 내년 1월 14일부터 중단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 보안서비스를 계속 받으려면 운영체제를 원도10으로 바꾸든지 컴퓨터를 그에 맞는 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상당수 기초자치단체의 컴퓨터는 내구연한 5년이 다 된 것들이어서 컴퓨터를 바꾸어야 할 실정이다. 하지만 그 시기가 불과 2주 앞으로 다가왔는 데도 인천지역 대다수 기초단체들은 제때에 맞추어 컴퓨터를 교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미 실행했어야 할 발주가 늦었기 때문이다.
인천 중구의 경우 윈도7을 사용하는 PC 260대, 미추홀구는 350대, 연수구는 480여 대, 부평구도 400여 대를 바꾸어야 한다. 서구와 옹진군도 300여 대를 교체하기로 했다. 그런데 이들 기초자치단체가 새해 업무 첫날인 1월 2일에 컴퓨터를 발주해 아무리 빨리 납품받는다고 해도 1월 16일이라고 한다. 2일 이상 공백이 불가피한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최단기일 내에 설치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예 2월 이후로 PC 교체 시기를 미루어 놓은 지자체도 있다고 한다. 이들 지자체가 컴퓨터 해킹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위험을 미리 막기 위해 노력한 지자체도 있다. 남동구와 강화군은 윈도 7을 사용하는 모든 PC 교체 계약을 마무리해 연초 기한 내에 설치하는 게 문제가 없다고 한다. 동구의 경우도 보안 공백을 막기 위해 윈도 7을 업그레이드하거나 곧바로 교체하기로 했다. 이들 3개 지자체는 국제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랜섬웨어 등의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준비를 한 것이다. 이에 반해 아직 PC 교체 예산조차 확보하지 못한 곳도 있다니 어처구니 없는 일이다.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은 몇 개월 전부터 윈도 7과 관련한 위험성을 경고해 왔다고 하는데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고는 제대로 대응하지 않고 있었다는 게 놀라울 정도다. 최일선 행정기관인 기초자치단체는 어느 기관보다도 많은 개인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유출의 피해가 큰 만큼 보안 의식도 높아야 하는데 그러지를 못한 것이다. 지금이라도 관계당국이 머리를 맞대고 윈도 7 중단 사태로 인한 시민 피해가 없도록 만전을 기하기 바란다.
[사설]컴퓨터 보안공백에 노출된 인천 기초단체들
입력 2019-12-30 21:01
수정 2019-12-30 21:01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12-31 2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