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은 공짜?' 품귀현상에 중고나라 거래까지

'중고나라' 국내 시중은행 5곳의 거래건수 결과 840건

스마트폰, 인터넷으로 일정관리한 탓에 수요 줄어든 탓

일부 고객용 달력 5천원에서 1만원까지 거래
2020010901000462200023522.jpg
수원시 장안구의 한 인쇄소에서 올해 달력을 제작하는 모습. /경인일보DB

은행과 공공기관 등에서 제작해 무료로 배포됐던 달력이 품귀현상을 보이고 있다. 은행 달력의 경우 '돈이 들어온다는 속설'까지 더해져 중고나라에서 거래될 정도다.

10일 중고거래 플랫폼 '중고나라'에 따르면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NH농협은행 등 국내 시중은행 5곳에서 제작한 달력의 중고 거래 건수는 840건에 달한다.

올해 KB금융 달력은 400여만부, 신한금융과 우리은행은 각각 약 120만부와 150만부씩을 제작했는데 전년 대비 20%가량 감소한 수치라는 게 이들 은행의 설명이다.



은행에서 배포하는 달력 수량 자체가 많지 않다 보니 전국 각 지점에서는 달력을 구하기 위한 고객들의 경쟁마저 펼쳐지고 있다.

33.jpg
네이버 달력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으로 일정을 관리하는 추세가 짙어지면서 종이 달력에 대한 수요가 줄어 은행과 공공기관의 주문 제작 물량도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심지어 품귀 현상으로 은행 달력의 경우 중고 거래까지 이뤄지고 있다. '걸어 놓으면 돈이 들어온다'는 소문까지 퍼져 몸값도 꽤 높다.

2020010901000462200023521.jpg
은행 등에서 무료로 배포했던 새해 달력이 부족해 품귀 현상마저 벌어지고 있다./황준성 기자

시세는 은행별로 큰 차이는 없지만 VIP 고객용 달력은 1만원, 일반 고객용은 5천원 정도에 거래됐다. VIP 고객용 달력은 종이 품질이 더 좋고, 유명 화가 작품이 실리기도 해 인기가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수원에 사는 김모(40)씨는 "새해 달력을 받기 위해 은행 여러 곳을 다녔지만 하나도 구하지 못해 돈을 주고 일반 달력을 구매해야 할 처지"라고 말했다.

은행의 한 관계자는 "일부 고객들은 새해 달력을 예약까지 걸어둔 상태"라며 "이미 제작 주문이 끝난 상태여서 각 지점에 연락해 남은 물량을 확보하려 하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황준성기자

yayajoon@kyeongin.com

황준성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