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인당 6~7t씩 처리 청소관리원
골목~수거車 '뜀박질' 고통 호소
시·군 "순식간 투기장 변질" 반대
고령화도 '집앞 배출' 선호 한 몫
생활쓰레기 수거 방식(거점 VS 문전)을 두고 일선 자치단체와 쓰레기 수거 용역업체간 의견이 크게 갈리고 있다.
청소업체는 골목마다 뛰어다니며 쓰레기를 수거하는 게 너무 힘들다는 입장인 반면, 일선 시군은 불가능한 행정이란 입장이다.
13일 '경기도 생활쓰레기 배출정보현황'에 따르면 31개 시군 중 양평·이천·평택을 제외한 나머지 28개 시군은 모두 문전수거 방식을 택하고 있다. 양평·이천·평택도 거점수거방식을 진행해 오다 최근 일부 지역을 문전수거로 바꿔 운영 중이다.
시군에 용역을 받아 생활쓰레기나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품 등을 수거하는 업체들은 '거점수거'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현행 문전수거 방식에서 일반 주택 지역 담당 청소관리원들은 골목마다 뛰어다니며 쓰레기를 들고 수거차량까지 와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청소관리원 1명이 하루에 담당하는 쓰레기만 6~7t에 달한다.
10년 차 청소관리원 A(48)씨는 "지금이야 숙달이 돼서 괜찮은데 처음 일 할 땐 힘들다는 생각조차 할 시간이 없을 정도로 버거웠다"며 "못 견디고 그만두는 신입 직원들도 많은 상황인지라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아파트 단지 수거와 비교하면 큰 차이다. 같은 면적일 때 아파트 단지에선 1시간가량 걸리는 수거가 일반 단독주택단지는 2배에서 3배까지 걸린다.
농어촌일 경우 상황은 더 심각하다. 차가 못 들어가는 좁은 농로가 많아 일일이 청소관리원들이 찾아야 한다.
도에서도 현재 거점수거 쪽에 손을 들어주고 있다. 시군에서 생활폐기물 거점배출시설 설치를 요청할 경우 도비를 지원해준다. 이를 위해 지난 2016년 1월 '경기도 생활폐기물 거점배출시설 설치 지원 조례'를 제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선 지자체는 거점수거가 불가능한 행정이라고 입을 모은다.
도시지역은 물론이고 일부 농어촌지역도 편의성 등을 이유로 문전수거를 선호하고 있는데, 거점수거를 설득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다.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거점을 선정하는 단계부터 반발 민원에 부딪히는 상황에서 설령 설득해 거점을 지정하더라도 거점이 쓰레기 투기장으로 변질되는 것은 한 순간"이라며 "특히 농촌 등 구도심 지역의 경우 빠른 고령화로 인해 거점까지 쓰레기를 들고 나와서 버리라고 할 순 없는 노릇 아니냐"고 했다.
/김동필기자 phii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