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 이전후 現 청사에 '기록원'
259억 투입… 안전진단후 설립
경기도가 정부의 국가기록원처럼 도와 각 시군의 주요 기록물을 수집·보관할 기록원을 설립한다.
도는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에 있는 도청사가 영통구 광교 신청사로 이전하면 도청사 구관(8천876㎡)과 제1별관(2천436㎡), 행정도서관(1천261㎡)을 리모델링해 '경기도기록원'으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이를 위해 도는 올해 9월까지 기록원 설립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진행해 기록원의 비전과 기능, 조직, 공간계획, 운영방향 등을 결정한 뒤 조례 제정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기록원 건립에는 사업비 259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된다. 이어 2024년 개관해 새로운 경기도 역사와 기록문화의 공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1967년 6월 23일 준공된 도청사 구관은 건물 자체가 등록문화재이다.
1960년대 건축물이 국내에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50년 넘게 사용되는 드문 건축물로, 2017년 8월 문화재청에 의해 근대문화유산 제688호로 등록됐다.
다만, 건물 중앙에 정원을 둔 □자형 구조여서 공간 활용에 제약이 따르고 준공한 지 오래돼 정기적인 정밀안전진단을 받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도 관계자는 "현 도청사에 기록원이 설립되면 중요 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신청사와 더불어 경기도의 랜드마크 기능도 유지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영상기자 donal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