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13101001479400073971.jpg
30일 비전2동 주민센터에서 열린 환경부와 평택시민단체와의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필리핀 반송 폐기물 처리와 관련한 논의를 하고 있다. /평택시민환경연대 제공

필리핀에서 반송된 플라스틱 폐기물이 평택항으로 추가반입 되는 것과 관련, 평택지역 시민단체들이 강력히 반발하며 폐기물을 감시 할 수 있는 강제권한을 요구하고 나섰다.

30일 비전2동 주민센터 소회의실에서 개최된 평택지역 시민단체와 환경부와의 간담회에서 평택시민환경연대 등은 정부의 안일한 폐기물 반입 행정을 비판하면서 이 같이 요구했다.

이날 간담회는 사흘 후인 2일 평택항에 도착하는 필리핀 반송 폐기물의 안전하고 신속한 처리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환경부 뿐 아니라 평택시, 평택시의회 등도 참석해 함께 논의를 진행했다. 환경부측에서는 이채은 자원순환정책과장이 참석했고 시민단체 대표로 전명수 서평택환경위원회 위원장, 박환우 평택환경행동 공동대표, 차화열 평택항발전협의회 공동대표, 조종건 시민사회재단 공동대표, 김훈 평택환경행동 공동대표 등이 논의에 나섰다.

평택항에는 지난해 상반기에 4천666톤의 폐기물이 필리핀에서 반송돼 소각 처리됐다. 이번 반송분은 작년에 이은 2차분으로 총 5천177톤이 국내로 들여올 예정이다. 2월 2일에는 최초 선적분인 50개 컨테이너(약800~1천톤)가 평택항에 도착한다. 총 5천177톤 중 제주도 반출폐기물(약1천800톤)은 평택항 도착후 타지역으로 이송돼 제주도청에서 책임지고 처리하고, 잔여폐기물(약3천377톤)은 평택시청에서 처리할 계획이다.

2020013101001479400073972.jpg
지난해 4월 평택항 동부두에서 정부 관계자들이 필리핀에 수출됐다가 평택항으로 반송된 불법 수출 폐기물에 대한 행정대집행을 진행하면서 폐기물이 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경인일보DB

간담회에서 전명수 서평택환경위원회 위원장은 "폐기물반입이나 기피시설이 지역에 들어올 때 해당 주민들의 반발은 클 수밖에 없음에도 환경부는 평택시에 필리핀 플라스틱 폐기물을 들여오면서 시민들에게 현황설명과 이해를 구하는데 너무 소극적이어서 주민들의 반발이 커질 수 있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폐기물 소각처리과정에서 환경시민단체의 감시와 강제권한이 부여돼야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환우 평택환경행동 공동대표도 "작년 상반기에 반입된 필리핀 폐기물 처리과정에는 환경단체의 참여와 감시활동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고, 방역시설 없이 물류회사 공터에서 작업이 진행됐다"며 "이번에 반입되는 폐기물은 방역처리를 해서 보낸다지만 믿기 어렵고 기술적으로도 어렵다. 필리핀 현장을 가볼 필요가 있으며, 환경단체의 감시가 가능하도록 방안들이 제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이채은 과장은 "2차 필리핀 폐기물 반입과정에서 평택시민들에게 미리 공지하고 협의하지 못한 점에 대해 사과 드린다"며 "평택의 부담을 덜기 위해 다각도의 검토를 했으나 필리핀 민다나오섬에서 유일항로가 평택항인 관계로 평택으로 들여오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과장은 이어 "평택에 등록되었던 업체의 수출분에 대해서만 평택시에서 처리하고 나머지 1천800톤은 반입 즉시 컨테이너로 타지역으로 이동하여 소각처리될 예정"이라며 "소각비용도 전액 국고에서 지원될 예정이며, 평택항 반입즉시 암롤 박스트럭에 환적후 인근 소각장으로 바로 이송해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이종한 평택시의회 의원, 평택시청 김재열 환경지도과장과 김진성 환경정책과장, 김경현 한국환경체육청소년연맹 경기지부장, 신동준 전국자연보호중앙회 부총재, 이종철 서평택발전협의회 사무총장과 안창균 오성면 안화리 이장 등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증명했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