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살 수 있을까… 입고수량 넘어선 행렬
5일 오후 수원시내 한 약국 앞에 제조사로부터 언제 입고될지 모르는 공적 마스크의 판매 시작을 기다리는 시민들이 길게 줄지어 서 있다. 이날 이곳에 배정된 수량은 총 100개, 이미 대기인원이 입고예정수량을 넘어섰지만 일부 시민들은 혹시나 구매기회가 올까 줄을 떠나지 않았다. /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중복확인 가능한 곳 '약국' 유일
물량 93% 유통… 시민 혼란 예상


정부가 한 달 안에 '공적 마스크' 판매물량을 최대 2배까지 늘리기로 했지만 1인당 구매 가능한 마스크 수는 다음 주부터 1주일에 2매로 제한한다.

사재기 등 중복구매를 막으면서 최대 많은 국민에게 공평하게 보급하기 위한 대책이지만 판매처 비중의 대부분이 약국으로 몰려 이에 따른 혼란을 방지할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 표 참조

정부는 5일 현재 생산되는 전체 마스크(하루 1천만장) 중 공적인 목적의 공급 물량을 현행 50%(500만장)에서 80%(800만장)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0030501000335600017402

이중 200만장은 의료기관·감염병특별관리지역·취약계층·학교 등에 보급하고 나머지 600만장은 전국 약국·우체국·농협 등을 통해 판매한다.

전체 마스크 생산량은 1개월 이내 1천400만장 내외로 확대할 예정이며 그간 차이를 보인 마스크 가격은 생산업체와의 계약 주체를 조달청으로 일원화해 1천500원으로 통일시킨다.

단, 그동안 1인당 1회 5장까지 살 수 있었던 마스크 수는 1주일에 2매로 크게 낮추고 출생연도에 따른 5부제를 시행한다. 과도한 사전 구매와 중복 구매 등을 줄이면서 보다 많은 국민에게 보급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에 정부는 약국·우체국·농협 등 판매처에 중복구매 확인시스템을 구축해 판매자가 구매자의 신분증을 확인하고 구매 이력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구매 수를 제한할 계획이다.

하지만 판매처인 약국·우체국·농협 중 전체 공적 마스크 물량(600만장)의 93%(540만장)가 약국을 통하도록 해 이로 인한 혼란에 대비할 대책이 필요한 상태다.

이미 확인시스템을 갖춘 유일한 판매처가 약국인 탓에 구매자가 과도하게 몰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날 수원의 한 약국장은 "국가적 사안인 만큼 판매자 역할을 하는 건 100% 공감하지만 도매업체마다 제각기인 배송시간 때문에 손님들의 불만이 너무 크다"고 호소했다.

화성의 한 약국장도 "오후부터 중복구매 확인시스템 기능이 생겨났는데 벌써 접속이 지연되는 등 문제가 생겨 정부가 원활한 판매를 위한 대책을 만들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