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jpg
인천시청 청사 및 인천애뜰 /인천시 제공


매립지·미세먼지·해양오염 등
관련이슈와 밀접한 입지 앞세워
3곳 압축한뒤 내달 개최지 발표


인천시는 오는 11월 개최 예정인 제22차 한·중·일 환경장관 회의 유치 신청서를 환경부에 제출했다고 3일 밝혔다.

동아시아 환경 현안을 주제로 3국의 환경장관이 만나는 이 회의는 1999년부터 한국과 중국, 일본이 번갈아 가면서 매년 개최하고 있다.

미세먼지와 해양오염처럼 국경 없는 환경 문제의 공동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올해 제22차 회의 개최국인 한국은 개최도시 신청을 지난 1일까지 접수했다.

인천시는 국내 최대 폐기물 처리시설인 수도권매립지와 화력발전소, 산업단지 등이 밀집한 도시다. 또 중국에서 불어오는 미세먼지를 맨 앞에서 받아들이는 곳으로 국제 환경 이슈와도 밀접하다.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해양오염 이슈도 인천 앞바다와 무관하지 않다.

인천시는 이처럼 국내외 환경 이슈에 가장 민감한 인천이 환경장관 회의를 위한 최적지라고 신청서에서 밝혔다. 이밖에 송도컨벤시아와 호텔, 인천공항 등 국제회의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한·중·일 환경장관 회의는 그동안 국내에서는 7번 개최됐는데, 서울이 3번 개최했고, 제주·부산·대구·경기도 수원이 각각 1번씩 개최했다.

회의는 3국 환경장관과 실무자, 환경 전문가, 내외신 기자 등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11월 중 이틀 동안 열릴 예정이다.

사전 행사로 과장급 실무회의와 포럼 등이 열리고, 회의 첫날은 양자회담 형식으로 진행되고, 이틀째에는 3국 장관이 한자리에서 만나 회의하고 기자회견을 연다.

인천시는 지난해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유치에 도전했으나 부산에 밀렸고, 올해 제4차 아시아·태평양 환경장관 포럼 개최지는 경기도 수원시가 차지했다.

인천시는 이번 회의 유치로 마이스 도시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환경 이슈 주도권을 갖겠다는 생각이다. 환경부는 서류 심사와 현장 실사 등을 거쳐 후보지를 3곳으로 압축한 뒤 6월 중 개최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인천시 녹색기후과 관계자는 "GCF(녹색기후기금) 등 환경 관련 국제기구가 있고, 환경 현안이 많은 인천이 개최지로 적합하다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