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환경부 등 공동추진 사업
생물소재 클러스터 포함키로 결정
국가정책 기조에 맞춰 거점화 전략
내달 과기부에 지정 신청서 제출

인천시와 환경부가 내년 상반기 지정 목표로 인천 서구 환경산업연구단지 일원에 추진하고 있는 강소연구개발특구(에코사이언스파크·1.9㎢)가 우리나라 '그린뉴딜' 정책의 거점이 될 전망이다.

인천시와 환경부는 '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위한 녹색산업 혁신 클러스터 중 하나인 '생물 소재 클러스터'를 강소연구개발특구 내에 조성하기로 하는 등 그린뉴딜 정책에 맞춘 특구 지정 신청서(종합 사업 계획)를 다음 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제출하기로 했다.

3일 환경부 관계자는 "국가 정책 기조인 그린뉴딜 방향성에 맞춘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신청서를 이르면 다음 달 과기부에 제출할 계획"이라며 "생물 소재 클러스터 조성 프로젝트도 특구 내에 포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인천시, 환경부, 인천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강소특구는 인천 서구에 집적돼 있는 환경산업연구단지,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 등 환경 분야 거점 기술핵심 기관을 연계해 환경 관련 벤처·중소기업 연구개발 사업을 지원하고 육성하는 게 목적이다.

2017년 완공된 환경산업연구단지(18만㎡) 내에는 이미 80여개 환경 분야 중소·벤처 기업들이 입주해 있으며 이들 기업은 연구단지 내에 있는 각종 실험실, 파일럿 테스트 시설 등을 공용으로 활용하며 기술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환경부는 이런 기능을 갖춘 연구단지 일원에 우수 생물자원을 대량 증식해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을 만들 수 있는 생물 소재 클러스터를 추가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생물자원을 제품화하려면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온실이나 실험실 등이 필요한데 이런 기능을 클러스터 안에 집적화 하겠다는 전략이다. 생물 소재 클러스터 조성 사업비는 400억원 규모로 올해 정부 3차 추경에 설계비 16억원이 반영됐다.

인천시와 환경부는 이런 계획 등이 포함된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며 과기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심사를 거쳐 특구 지정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해 진주(항공우주 부품·소재), 창원(지능형 전기 기기), 청주(스마트IT부품·시스템) 등 6개 지역을 연구개발특구로 지정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정부가 이번 3차 추경을 통해 올해에만 5천867억원을 그린뉴딜 사업에 투자하기로 했으며 2025년까지 그린·디지털 뉴딜에 76조원을 쏟아붓기로 했다"며 "인천 서구 일대가 강소특구로 지정되면 국가 그린뉴딜 정책의 핵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