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 외 9개 군·구, 5만3233t달해
초과하면 수수료 100% 가산 징수
민간시설 처리땐 엄청난 재정 부담
市, 내달 청라·송도소각장 용량↑
인천지역 기초단체가 수도권매립지에 버린 폐기물이 올해 상반기가 지나기도 전에 반입 허용량 대비 절반 이상을 초과해 비상이 걸렸다. 앞으로 하루 평균 81t의 폐기물을 감량하거나 자체 처리해야 반입량 기준을 맞출 수 있다.
18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옹진군을 제외한 9개 군·구가 수도권매립지에 처리한 생활폐기물은 5만3천233t으로 반입 총량제에 따른 목표량(9만6천199t)의 55.3%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 추세대로라면 올해 말 인천 9개 군·구의 수도권매립지 총 반입량은 목표량보다 3만t이상 초과할 전망이다.
강화군이 79.6%로 이미 목표량에 다다랐고, 중구(62.3%), 연수구(61.9%) 순으로 조사됐다. 절반을 넘지 않은 곳은 동구와 미추홀구 뿐이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올해 1월부터 '반입 총량제'를 실시해 기초단체별 생활폐기물 반입 총량을 2018년 반입량의 90%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 이를 초과하는 지자체에는 반입 수수료를 100% 가산해 징수하고, 내년에는 5일 동안 반입이 정지된다.
인천시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7월 1일부터 인천환경공단이 운영하는 청라·송도소각장의 생활폐기물 소각 용량을 늘리기로 했다. 매립지 반입 폐기물을 소각장으로 가져오겠다는 것이다. 대신 이를 위해 각 군·구 재활용폐기물 잔재물의 반입을 전면 중단할 계획이다.
각 지자체는 그동안 재활용 폐기물 수거를 민간업체에 맡겼고, 이들 업체는 재사용 가능한 폐기물을 선별하고 남은 잔재물을 청라·송도소각장에서 처리해 왔다. 깨진 병이나 이물질이 묻은 플라스틱 등 재활용이 안 되는 폐기물은 소각 처리했던 것이다.
이는 전체 재활용 폐기물의 40%에 달한다. 하지만 생활폐기물의 반입 용량을 늘리기 위해선 이런 잔재물의 반입 중단이 불가피하다는 게 인천시의 설명이다.
인천시는 이번 조치로 1만4천274t의 생활폐기물 소각 용량을 확보하게 됐지만, 이마저도 부족해 각 군·구는 별도로 1만7천286t을 감량하지 못하면 자체 처리해야 한다. 하루 81t에 달하는 양이다. 민간 처리업체의 경우 t당 소각량이 20만원 가량으로 공공시설의 2배에 달한다.
인천시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수도권매립지 반입 총량 초과에 따른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해 인천시 소각장의 생활폐기물 처리량을 늘렸지만, 근본적인 해법은 각 군·구가 폐기물 배출을 줄이는 것"이라며 "쓰레기를 줄이지 못하면 자치단체는 민간시설에서 쓰레기를 처리해야 해 엄청난 재정 부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