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구 일대 수돗물에서 유충이 잇따라 발견돼 충격이다. 시는 왕길·당하·원당·마전동 일원 3만6천여 가구에 직접 음용을 자제하라고 당부했다. 지난해 '붉은 수돗물 사태'에 이어 유충이 나오면서 시의 수돗물 관리체계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다. 일부 주민은 아이들에게 생수로 목욕을 시키고 있다며 극도의 불안과 불신감을 드러내고 있다. 시는 첫 민원을 접수하고도 나흘이나 사실을 숨겼다는 의혹을 받는다. 지난해 수돗물 사태로 시민에 사과했던 박남춘 시장도 뒤늦게 대책회의를 주재하는 등 늑장 대응 논란이 일고 있다.
유충이 발생했다는 민원은 지난 9일 서구 왕길동 모 빌라에서 처음 접수됐다. 이후 22건의 신고가 추가됐다. 주민들은 수도꼭지나 샤워기 필터 안에서 살아있는 유충이 기어가는 사진과 영상을 맘 카페에 올리며 불안감을 호소했다. 시는 유충이 깔따구류의 일종이나 발생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시민들은 극도의 불안을 호소한다. 한 시민은 너무 놀라 생수로 아이를 씻겼다고 했다. 인천환경운동연합은 성명에서 지난해 마련한 대응책이 현재 적절히 작동되는 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왜 사고가 잇따르는지 조직과 시스템을 재점검하고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구 지역은 지난해 5월 붉은 수돗물이 처음 발생해 큰 피해를 봤다. 수계 전환 과정에서 기존 관로의 수압을 무리하게 높이다가 수도관 내부 침전물이 떨어져나와 각 가정으로 흘러들었다. 서구 공촌정수장 관할 26만1천 세대, 63만5천명이 붉은 수돗물 피해를 본 것으로 추산됐다. 환경부는 당시 시 상수도본부 공무원들이 문제의식 없이 수계 전환을 했다고 질타했다. 시민과 시민단체는 지난해에 이어 수돗물 사고가 또 발생한 것은 충격적인 일이라며 원인 규명과 재발방지대책을 촉구했다. 시가 사실을 감추려다 뒤늦게 늑장대처에 나선 것 아니냐며 의혹을 제기했다.
붉은 물 사태와 관련, 박 시장은 시민에게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하지만 1년여 만에 유충이 든 수돗물이 가정에 흘러들었다. 도대체 무엇을 바꾸고 개선했는지 의문이다. 시 발표보다 언론이 먼저 세상에 알렸다. 늑장 대처 의혹이 제기된다. 지난해 안이했다는 지적을 받고서도 달라진 게 없다는 비판이다. 수돗물의 생명은 안전성이다. 믿고 마실 수 있는 깨끗한 물이 공급돼야 한다. 시는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를 통해 시민 불신과 불안을 해소하기 바란다.
[사설]붉은 물에 이어 유충 발생한 인천시 수돗물
입력 2020-07-15 20:33
수정 2020-07-15 20:33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07-16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