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硏·환경공단 등 대상에 거론
'해경 환원'같은 초당적 협력 필요
평화복지연대 '공동대응TF' 요청


행정수도 이전을 비롯한 국가균형발전이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최대 화두로 떠오르면서 인천지역 공공기관 이전 현실화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 해체됐다 부활한 해양경찰청의 인천 환원을 이끌어냈던 것처럼 인천시와 여야 정치권, 시민사회단체가 한목소리로 공공기관을 지켜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와 여당이 추진하는 공공기관 지방이전 정책에 따라 인천에서는 극지연구소와 항공안전기술원, 한국환경공단 등이 이전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인천시는 최근 민주당 지도부와의 예산정책협의회 자리에서 인천 소재 공공기관 존치를 건의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과거 해경의 인천 환원을 이끌어냈던 경험을 최대한 살려 인천시와 여야가 합심해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또 인천지법의 서울고법 원외 재판부 유치 등도 정치적 이해관계 없이 한 목소리를 냈기에 가능했던 일이라는 평가다.

미래통합당 인천시당은 여당과 인천시에 적극적인 대처를 주문하기도 했다. 민주당 시정부와 인천시당이 중앙당 차원의 공공기관 이전 방침에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다.

부산 지역의 경우 민주당 3명, 미래통합당 15명 등 총 18명의 국회의원 전원이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찬성하며 같은 배를 탔다. 부산·울산·경남지역에서는 수도권에 대응하는 경제 공동체를 구성해 메가시티를 만들자는 제안이 나오는 등 수도권이 '공공의 적'이 돼버렸다.

인천지역 시민단체는 19일 인천시와 정치권, 시민들이 참여하는 공동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꾸릴 것을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이 단체는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으로 해양·항공·환경 관련 기관이 사라지면 인천의 미래 성장 동력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 사무처장은 "인천시와 민주당, 통합당이 제각각 대응하는 시스템으로는 이전을 막아낼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해경 환원의 훌륭한 경험을 살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대해서도 다시 '인천'이라는 공동 의제로 해법을 함께 모색할 때가 됐다"고 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