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실종 공무원 피격사태' 정세관리 나선 북한

北, 영해 침범 경고하며 "신뢰·존중 훼손되지 않도록 대책 보강"

20200927010100104801.jpg
강화군 교동도 망향제에서 바라본 북한의 모습. 2020.9.27 /김용국기자yong@kyeongin.com


사건 공동조사 제안 거부 불구
남북 관계 파국은 피하려는 듯
해군·해경 인근해상 집중 수색

북한은 인천 옹진군 연평도 서해 북방한계선(NLL) 해역에서 북한군 총격으로 숨진 공무원을 남측이 수색하는 과정에서 북측 영해를 침범하고 있다며 이를 중단하라고 27일 밝혔다.

북측은 이런 경고성 메시지와 함께 '북과 남 사이의 신뢰와 존중의 관계가 그 어떤 경우에도 절대로 훼손되는 일이 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필요한 대책을 보강했다'고 밝혀 이번 사태와 관련해 일종의 수위 조절을 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북한은 이날 '남조선 당국에 경고한다'란 제목의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우리는 남측이 새로운 긴장을 유발할 수 있는 서해 해상군사분계선 무단침입 행위를 즉시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은 "최고지도부의 뜻을 받들어 북과 남 사이의 신뢰와 존중의 관계가 그 어떤 경우에도 절대로 훼손되는 일이 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필요한 안전대책들을 보강했다"고 강조했다.

북측이 주장하고 있는 해상군사분계선은 1999년 9월 북한이 일방적으로 선포한 '조선 서해 해상군사분계선'을 의미한다. 군 당국은 이 분계선을 기준으로 하면 NLL에서 훨씬 남쪽이 북측 영해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지난 2010년 연평도 포격 때도 서해 해상군사분계선 등을 명분으로 내세웠다.

북한은 이날 경고 메시지를 통해 남측이 공무원 총격 사건과 관련해 제안한 공동조사를 거부하면서도, '신뢰'와 '보강대책' 등을 언급하며 남북 관계를 파국으로 몰고 가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2020092700020152002.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해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에서 총격 살해된 사건과 관련해 우리 측에 공식으로 사과하고 이틀이 지난 27일 이른 아침 북측 등산곶이 보이는 연평도 앞바다에서 해병대원들이 해상 정찰을 하고 있다. 2020.9.27 /연합뉴스

정부는 이날 북측의 경고성 대남 메시지와 상관없이 피격 사망한 공무원의 시신과 소지품 등을 찾기 위한 수색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해군과 해양경찰청 등은 27일 연평도 인근 해상을 8개 구역으로 나눠 집중 수색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수색 범위는 연평도 서방부터 소청도 남방 해상까지로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 수색에는 해경과 해군의 함정 29척과 어업지도선 10척 등 총 39척과 항공기 6대가 투입됐다.

해경은 숨진 공무원의 시신이나 소지품이 NLL 남쪽 지역으로 떠내려올 가능성에 대비해 수색하고 있다.

한편 박남춘 인천시장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다시는 우리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고 해치는 일이 재발 돼서는 안 된다"며 "남북이 어렵게 쌓아온 신뢰와 존중은 지켜져야 하고 이를 위해 시민들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경인일보 포토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김명호기자 기사모음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