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 기본소득 시행에 176억 편성
극저신용자 소액금융지원엔 500억
공공배달앱 등 '뉴딜' 8494억 반영
올해 대비 내년 본예산을 6.5% 늘린 경기도는 '이재명표' 핵심 사업 추진에 한층 박차를 가한다.
기본소득은 청년 기본소득에 더해 농민 기본소득과 농촌 기본소득이 시행되고, 지역화폐도 확대 발행된다.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극저신용자 소액금융 지원사업에도 한층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도는 내년 본예산에 농민 기본소득 시행에 필요한 176억원을 편성했다. 매달 5만원, 연 60만원을 지역화폐로 농업에 종사하는 도내 모든 농민에게 지급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7월부터 시범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농촌 기본소득에는 27억원을 반영했다.
농민 기본소득이 도내 모든 농민 개개인에 지급한다면, 농촌 기본소득은 농업 종사 여부와 관계 없이 농촌지역 내 모든 주민에 지급한다는 차이가 있다. 청년 기본소득에는 1천64억원을 편성했다. 극저신용자 소액금융 지원사업엔 올해와 동일하게 내년에도 500억원을 투입한다.
한국판 뉴딜에 발맞추는 '경기도형 뉴딜사업'에 8천494억원을 반영하면서 그 일환으로 경기도 공공배달앱 운영을 포함, 디지털 SOC 구축에 107억원을 편성한 점도 눈에 띄는 점이다. 경기도 공공조달시스템 구축비로도 63억원을 책정했는데 정부 반대가 여전한 만큼 예산 심의 과정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