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1001000380500019531

망막 앞에 섬유성 막 생겨 시력저하·변시증 유발
저절로 회복 매우 드물어… '수술'해야 치료 가능
특별한 전조 증상도 없어 '주기적인 검진' 받아야

시력이 떨어지거나 사물이 휘어져 보인다면 '망막전막'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망막전막은 0.1~0.3㎜ 두께의 얇은 신경막인 망막 앞에 또 다른 섬유성 막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한다. 망막 앞부분에 있던 세포와 세포 외 기질이 신경조직에서 떨어져 나와 얇은 막을 형성하면서 발병하게 된다.

노화가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50대 이상인 경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망막전막은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망막 변형으로 이어져 수술을 해도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 또 망막전막이 빛을 감지하는 시세포가 밀집된 황반까지 영향을 끼쳐 황반 변형을 일으키면 시력이 저하되고 사물이 비틀어져 보이거나 휘어져 보이는 변시증을 유발할 수 있다.

망막전막은 바둑판처럼 생긴 '암슬러격자(Amsler Grid)'를 이용해 자가진단할 수 있다.

한쪽 눈을 가리고 격자무늬를 바라봤을 때 격자가 휘어지거나 비틀어지게 보이고, 물결치듯 보이거나 어느 한 부분이 보이지 않는다면, 망막전막 등 망막 관련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다. 물론 자가진단 이후 안과전문병원 등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망막전막은 특별한 전조증상이 없다. 시력 저하나 변시증을 느낄 때쯤이면 이미 망막전막으로 인한 망막 변형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조기 발견과 치료를 위해선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망막전막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검진 과정에선 안저검사와 망막빛간섭단층촬영 등이 활용된다.

망막전막은 막을 제거하는 수술로만 치료가 가능하다. 막이 저절로 떨어지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일반적으로 멤브레인 필링, 유리체 절제술 등 수술로 막을 제거하게 된다.

수술을 하게 되면 망막전막으로 인해 변형된 망막이 서서히 원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한길안과병원 망막센터 이정희 진료과장은 "망막전막 초기에는 시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환자가 잘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주로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데다 치료 시기를 놓쳐 망막, 황반 변형이 심해지면 수술 후에도 회복이 어려우므로 50세 이상이 되면 주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 그래픽/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클립아트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