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이번 주 중 표류 중인 수도권매립지 대체 부지 조성 사업에 대한 입장을 정리해 발표하기로 했다. 수도권매립지 사용 연장을 바라는 서울시·경기도와 2025년 종료를 밀어붙이는 인천시가 갈등을 보이자 중재안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3개 시·도와 환경부는 17일 서울역 회의실에서 수도권매립지 현안과 관련한 4자 협의체 회의를 열어 대체 부지 조성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인천시가 '쓰레기 독립'을 선언하며 자체 매립지 후보지를 공개한 이후 처음 열린 자리였다.

지난 2015년 4자 협의체는 인천 서구에 있는 수도권매립지를 3-1 매립장 종료 시(2025년 예정)까지 사용하고 대체 매립지를 공동 조성하기로 했다. 그러나 후보지 주민 반발을 우려해 입지 선정 용역을 마치고도 1년 넘게 결과를 공개하지 못하고 있다.

후보지활용_판넬(1110).jpg
인천시가 수도권매립지 2025년 종료를 위해 조성하는 자체 폐기물매립지의 후보지를 옹진군 영흥도로 결정했다. 인천시가 옹진군 영흥도에 추진하는 자체 매립지 위치도. 2020 11.12 /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대체 매립지 조성이 지연되자 논의에서 빠져나와 자체 매립지를 조성하기로 했고, 지난 12일 옹진군 영흥도를 후보지로 선정했다. 이에 환경부는 인천을 제외한 서울과 경기도의 출구전략을 마련하고, 대체 부지 공모에 대한 계획을 밝힐 예정으로 알려졌다.

이날 4자 협의체는 2026년부터 수도권에 적용되는 직매립 금지 정책에 대한 대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생활폐기물을 매립지에 바로 처리하지 않고, 소각 단계를 거친 소각재만 매립하는 방식으로 전국에는 2030년 적용되지만, 수도권에는 2026년 조기 적용된다. 소각장 확충이 현실적 대안이라서 이에 대한 계획도 공개될 예정이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