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H 입주 무산' 광교 주민 당혹
李지사 "남부 접근성 보완할 것"
경기도 공공기관 3차 이전 결정의 후폭풍이 거세게 일고 있다. 기관 이전 결정에 이르기까지 소통이 부족했다는 지적에 도는 "도의회, 공공기관과 이미 협의했다"는 입장인 반면 도의회, 공공기관은 "일방적인 통보"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지난 17일 이재명 도지사는 수원에 있는 7개 기관을 북·동부지역, 자연보전권역으로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1년새 12개 기관이 빠져나가게 된 수원지역 정치권과 이전 대상에 포함된 공공기관에서 즉각 반발이 일었다.
도는 별도의 해명자료를 통해 이미 예고됐던 사안인데다 협의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3차 이전은 북부지역 시·군, 시민단체, 지역 도의원들이 지속적으로 건의한 사안으로 올해 초 기자 간담회를 통해 이전 방침을 예고했다. 각 공공기관과는 지난 15일께 사전 협의를 했고 도의회와는 지난 16일 사전 협의를 완료했다"는 게 주된 내용이었다.
해명자료 발표 이후 도의회, 공공기관은 반발 수위를 높였다. 18일 긴급 기자회견을 연 수원지역 도의원들은 "도는 사전 협의를 거쳤다고 했지만 이건 발표 하루 전 형식적, 일방적 통보에 불과하다"고 반발했다.
장현국 도의회 의장 역시 각 공공기관 노조위원장들을 면담한 자리에서 "솔직히 어제(17일) '이렇게 하기로 했다'고 전달받은 후 황당했다. 이건 협의가 아니라 통보다, 이렇게 소통하면 안 된다고 이의를 제기했다. 균형발전을 하지 말자는 게 아니라 일방통행을 우려하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김종우 경기도공공기관노동조합총연맹 의장도 면담 자리에서 "사전 의견 수렴 절차가 당연히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기자회견을 통해 이전 대상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게 됐다. 기습적인 발표"라고 말했다.
이번 이전 결정으로 GH(경기주택도시공사), 경기신용보증재단 본사가 수원 광교 경기융합타운에 입주하는 일이 무산될 처지가 되자, 광교 주민들도 당혹감을 드러냈다. 광교입주자대표협의회 측은 "주민들과 소통도 없이 일방적으로 발표한데 대해 다들 상당히 분노하고 있다. 가만히 있다가 날벼락을 맞은 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이 지사는 이날 SNS를 통해 "경기 동북부 지역의 특별한 희생에 특별한 보상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남부권이 역차별받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7개 기관이 이전한 후에도 남부권에는 여전히 13개 기관이 있고 지점들도 존치한다. 기존 도청사에는 공공서비스 기관을 유치해 남부권 도민의 행정서비스 접근성을 보완할 것이다. 열린 마음으로 다양한 의견을 경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 관련기사 3면(수원 경기도의원들 "공공기관 이전 원점 재검토 수준 논의해야")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