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ㄴㅇㅎㅇㅁㄶㅁㄶ.jpg
5일 오전 수원시 영통구 자원회수시설 반입장에서 주민감시원들이 반입된 쓰레기들을 샘플링하고 있다. 2021.3.5 /김도우기자 pizza@kyeongin.com

"우리 동네 주민들이 이렇다고요?"

지난 5일 오전 수원시 영통구 자원회수시설. 주변 나무에서 뿜어져 나온 상쾌한 아침 공기 뒤로 자원회수시설 내부 쓰레기 집하장엔 비장함이 가득했다.

이곳에 모인 주민 약 20명은 저마다 시에서 제공한 덧옷을 입고 장화를 신은 채 갈고리처럼 생긴 연장을 들었다.

이때 아침 수거를 끝낸 생활쓰레기 수거차량이 지나가며 쓰레기 일부를 바닥에 부었고, KF94 마스크를 뚫고 들어오는 퀴퀴한 쓰레기 냄새에 주민들은 인상을 찌푸리며 뒷걸음질 쳤다.

"이제 종량제 봉투를 연장으로 찢으시면 됩니다!"

이내 들려온 현장 담당자의 커다란 목소리에 마지못해 갈고리로 봉투를 찢기 시작했다. "으악!"이란 단말마 비명을 쫓아가니 일주일은 묵힌 듯한 음식물 찌꺼기가 봉투 사이로 스멀스멀 새어 나왔다. 비싸서 못 먹는다는 상한 '대파'도 눈에 띄었다.

한 주민을 충격에 빠뜨린 건 일련의 카세트테이프 뭉치였다. 성경이 담겨 있었던 것. 시민 A씨는 "성경인데 이걸 이렇게 버릴 줄은 꿈에도 몰랐다"며 "기독교인이라면 절대 이렇게 못할 텐데…"라고 말을 잇지 못했다.

지난달 22일부터 매번 점검에 나섰지만, 이날은 유독 더 많은 '부적합' 쓰레기가 나왔다. 세월의 흔적을 간직한 낡은 냄비부터 플라스틱·캔·비닐까지 10~20ℓ 남짓한 종량제 봉투에선 온갖 잡동사니가 쏟아져 나왔다.

현장 관계자는 "종량제 봉투에 담겨 있는 쓰레기도 부적합이 많은데, 거리엔 얼마나 많은지 감도 안 잡힌다"고 토로했다.

생활쓰레기 분리배출을 둘러싼 여러 문제는 기초자치단체의 골칫거리다. 경기도 내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수원시는 말할 것도 없다. 시가 택한 방안은 '주민 인식 개선'이었다. 각종 쓰레기 처리장은 아무리 깨끗하게, 문제없이 운영한다고 해도 '님비 민원'의 대상이 되는 까닭에 원천적 해결을 위해선 인식 개선이 가장 효과적인 해법이 될 것이란 판단에서다.

먼저 시작한 건 '부적합' 쓰레기 수거 금지였다. 그간 부적합쓰레기도 수거했는데, 코로나19로 포장재가 너무 많아지면서 시 전체 쓰레기를 500여명이 치우고 분류하는 데 한계가 왔다는 것. 시 관계자는 "초반엔 안 보이는 옆 골목으로 떠넘기면서 진통이 있겠지만, 결국 시민들 스스로 잘 버리는 방법이 해법이라는 걸 알리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인식개선작업을 돕기 위해 시는 지난달 22일부터 시내 44개 동 주민들이 직접 생활쓰레기 분리 실태를 점검하는 프로그램을 매주 월·수·금요일 마다 진행 중이다. 각 동 대표나, 통장 등 15명이 모여 거주하는 동에서 수거한 종량제 봉투 내부를 점검하면서 인식개선을 돕겠다는 취지다. 44개동이 끝나는 3월 중순부터는 희망자를 받아 쓰레기 배출 실태를 직접 체험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수원시의 생활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도전은 이달 말까지 계속된다. 고약한 냄새가 기승을 부릴 수 있는 초여름 전까지 조금이나마 인식을 바꿔보겠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비닐'과 '플라스틱' 딱 두 가지만 씻어서 분리 배출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며 "따뜻해지면 냄새도 나고, 하니 사실상 골든타임은 이달 말까지로 보고있다"고 말했다.

/김동필기자 phii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