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기존 노선 연장을 성사시키기 위한 기초단체들의 유치전이 치열한 가운데 안산, 시흥, 안양, 의왕시 등은 민간사업자의 투자 제안서에 각 지역으로의 연장 방안이 포함되도록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진은 작년 7월 국토교통부 GTX-C노선 기본계획 발표를 앞두고 의왕역 정차를 요구하며 내걸은 현수막. /경인일보DB

C노선 연장 4차 철도망 초안 제외
정부 '민간 추진'땐 검토 여지 남겨
안산·시흥 "사업자들과 협의 노력"
평택·동두천 '경제적 타당성' 파악


김포~부천에 그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신설 노선(GTX-D)을 두고 논란이 거센 가운데 기존 노선의 연장을 성사시키기 위한 기초단체들의 유치전도 치열한 실정이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 초안에 경기도와 각 기초단체가 건의했던 GTX 노선 연장안이 모두 반영되지 않은 상황 속(4월23일자 1·2면 보도)에서 각 기초단체는 저마다 연장을 성사시키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경기도는 GTX-A·C노선의 평택 연장과 GTX-C노선의 안산, 시흥 연장을 각각 건의했는데 지난달 22일 공개된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초안에는 모두 제외됐다. 이에 대해 각 기초단체는 "낙담하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우선 안산, 시흥, 안양, 의왕 등은 열흘 앞으로 다가온 민간사업자의 투자 제안서에 각 지역으로의 연장 방안이 포함되도록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 GTX-C노선에 대한 사업 기본계획을 고시하면서 노선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수원~양주 덕정으로 결정했지만, 민간사업자의 투자 제안을 토대로 추가 정거장을 최대 3개 설치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민간사업자의 투자 제안서 제출은 오는 21일까지다.

4차 철도망 계획 초안에 C노선 연장 방안이 포함되지 않은 데 대해 안산, 시흥시 측은 "GTX-D노선처럼 노선을 신설하는 방안이 아니어서 4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의 대상이 아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그보다는 민간사업자들과 협의해 실질적으로 추가 역이 개설될 수 있도록 계속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평택시 역시 C노선의 종점을 기존 수원에서 평택까지 연장하기 위해 제도 개정과 타당성 조사를 병행하고 있다. 동두천시도 양주 덕정까지인 C노선을 동두천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데, 두 지역 모두 시 차원의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에서 연장 노선이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앞서 정부는 수원~덕정 구간을 넘어 평택·오산·화성 등 남부권이나 동두천·연천 등 북부권까지 C노선을 추가 연장하는 방안은 기본계획에 포함하지 않았다. 다만 민자사업으로 추진하면 연장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 이들 지자체 모두 노선의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한 후 개설을 타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특별시·광역시의 중심지점에서 40㎞ 이내까지만 광역철도를 만들 수 있도록 한 제도적 걸림돌을 해소하는데도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 4일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는 광역철도 거리기준에 대한 홍기원(평택갑) 의원 질문에 개선 필요성을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 관련기사 3·9면("4차 철도망 계획에 GTX-D 원안 반영"…부천·김포·하남·인천의원들 '한 목소리')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