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51401000564700028051
민웅기 지역사회부(안성) 차장
한동안 잠잠했던 젠더갈등 문제가 GS25 남혐 포스터 제작 논란 등을 계기로 다시금 우리 사회를 광풍으로 몰아넣고 있다.

젠더갈등은 현재 정치권은 물론 문화, 사회 등 모든 분야에서 남녀 간 편을 갈라 상대편을 인정하지 않는 것도 모자라 증오하고 공격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게 됐다.

특히 젠더갈등은 20~30대 청년층에서 더욱 심각한 양상을 띠고 있어 우리 사회가 갈등 봉합을 위한 해법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분열과 갈등 속에 자멸하게 될지도 모른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인생에 단 한 번 빛나는 청년시절을 보내게 된다.

이 시기에 남자든 여자든 이성을 향한 열정 넘치는 사랑을 통해 인생의 행복함을 만끽하고, 때론 시련의 아픔과 극복을 통해 성숙한 삶의 의미를 깨닫게 되는 소중한 경험과 추억을 갖게 된다.

이는 청춘남녀의 특권이지만 남혐과 여혐을 조장하는 극단적인 세력들로 인해 이를 누리지 못하는 현시대 청년들의 모습이 안쓰럽다. 젠더갈등 해소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해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남녀 간 다름과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과 배려를 실천하면 된다.

실제 지난 2016년 저소득층 여자 청소년들 중 일부가 생리대를 살 돈이 부족해 신발 깔창을 사용한다는 충격적인 보도가 있었다. 이후 이 문제는 여자 청소년들에게 생리대값을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제도 시행으로 해결됐다. 현재의 극단적인 젠더갈등 시각으로 보면 '여자에게 지원해줬으니 그만큼 남자에게도 다른 것을 지원해줘야 한다'는 식으로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당시 남녀 간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했기에 그 누구도 이 부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페미니즘이니 이퀄리즘이니 하는 어려운 말은 하지 않겠다. 그저 이 사실 하나만을 우리 청년들이 알아줬으면 한다. 성별에 관계없이 고귀한 생명이 태어나려면 남녀가 사랑을 해야 하고, 사랑을 하려면 이성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는 점을.

/민웅기 지역사회부(안성) 차장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