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발생률 높아… 공장입지 안돼"
광주 최초 민간단지 조성 또 난관
'제대로 된 환경영향평가' 지적도
市, 협의체 구성해 의견 조율할것
"유독 학동리·선동리에 암 발생률이 높다. 무분별한(화학제품이 사용되는) 공장입지는 안 된다."
광주 최초의 민간산업단지로 기대를 모았던 '학동 일반산업단지' 조성이 또다시 난관에 봉착했다.
특대고시 문제를 풀어내자(2020년 7월29일자 9면 보도='팔당·대청호 상수원 공장설립 피해' 광주기업 구제 받는다) 이번엔 해당 지역 주민들이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나섰다.
광주시 초월읍 학동리 산140-1 일원에 5만9천여㎡ 규모로 추진 중인 학동 산단은 2017년 경기도 산업단지 지정계획에 반영된 이후 순항하는 듯했다.
그러나 2019년에 보전·생산관리지역을 공업지역으로의 변경을 금지(제한→금지)하는 특대고시 제15조가 개정되자 그해 9월 광주시는 환경부의 특대고시 규정에 따라 일반산업단지 계획 승인을 회송 처분했다.
이후 학동 산단 시행사인 (주)진우아이앤피 외 9개사는 행정심판을 청구했고, 이에 법원은 지난해 '회송통보 처분을 취소하라'고 조정 권고했다.
시는 이에 동의했고, 산업단지 내 공장설립의 길이 열리게 됐다. 지난달 시행사는 산업단지계획 승인신청서를 재접수했고, 시는 '개발에 따른 전략환경영향평가와 관련해 전략환경영향평가항목 등의 결정내용'을 공개 공고했다.
계획대로라면 올 연말 경기도의 산업단지계획 심의를 거쳐 내년도(2022년) 산업단지계획이 승인예정이다. 오는 2024년이면 건축물 준공 및 입주가 시작된다.
이에 대해 박상영 시의원은 "산단 예정지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상당하다. 산단이 주거지와 가깝고 업종 자체가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주민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며 "환경영향평가를 제대로 해야 할 것이다. 마을 앞은 산단, 뒤는 변전소냐며 항의하는 주민들이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현자섭 시의원도 "학동·선동리 지역은 영세 제조업체들로 즐비하다. 암 발생률이 높은 것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주민들이 어떡하냐며 계속 민원을 제기하는데 산단 입지에 앞서 다각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이미 2017년 산업단지 지정계획에 반영될 때부터 반발해왔다. 인쇄업체들이 중심이 된 산단과 관련해 '유해물질 화학공단'이라며 반대했고, 생존권을 보장하라며 항의해왔다.
시 관계자는 "산단 입지와 관련해 협의체를 구성해서 의견을 조율할 것이다. 주거지에 녹지축을 만들든지 여러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전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