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동산단 위치도. /광주시 제공 |
"유독 학동리·선동리에 암발생률이 높다. 무분별한(화학제품이 사용되는) 공장입지는 안된다."
광주 최초의 민간산업단지로 기대를 모았던 '학동 일반산업단지' 조성이 또다시 난관에 봉착했다.
특대고시 문제를 풀어내자(2020년도 7월29일자 제9면 보도='팔당·대청호 상수원 공장설립 피해' 광주기업 구제 받는다) 이번엔 해당 지역 주민들이 반대목소리를 높이고 나섰다.
광주 초월읍 학동리 산140-1 일원에 5만9천여㎡ 규모로 추진중인 학동 산단은 2017년 경기도 산업단지 지정계획에 반영된 이후 순항하는 듯 했다.
그러나 2019년에 보전·생산관리지역을 공업지역으로의 변경을 금지(제한→금지)하는 특대고시 제15조가 개정되자 그해 9월 광주시는 환경부의 특대고시 규정에 따라 일반산업단지 계획 승인을 회송 처분했다.
이후 학동 산단 시행사인 (주)진우아이앤피 외 9개사는 행정심판을 청구했고, 이에 법원은 지난해 '회송통보 처분을 취소하라'고 조정 권고했다.
시는 이에 동의했고, 산업단지 내 공장설립의 길이 열리게 됐다. 지난달 시행사는 산업단지계획 승인신청서를 재접수했고, 시는 '개발에 따른 전략환경영향평가와 관련해 전략환경영향평가항목 등의 결정내용'을 공개 공고했다. 계획대로라면 올 연말 도의 산업단지계획 심의를 거쳐 내년도(2022년) 산업단지계획이 승인예정이다. 오는 2024년이면 건축물 준공 및 입주가 시작된다.
이에 대해 박상영 시의원은 "산단 예정지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상당하다. 산단이 주거지와 가깝고 업종 자체가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주민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며 "환경영향평가를 제대로 해야 할 것이다. 마을 앞은 산단, 뒤는 변전소냐며 항의하는 주민들이 적지않다"고 지적했다.
현자섭 시의원도 "학동·선동리 지역은 영세 제조업체들로 즐비하다. 암발생률이 높은 것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주민들이 어떡하냐며 계속 민원을 제기하는데 산단 입지에 앞서 다각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이미 2017년 산업단지 지정계획에 반영될때부터 반발해왔다. 인쇄업체들이 중심이 된 산단과 관련해 '유해물질 화학공단'이라며 반대했고, 생존권을 보장하라며 항의해왔다.
시 관계자는 "산단 입지와 관련해 협의체를 구성해서 의견을 조율할 것이다. 주거지에 녹지축을 만들던지 여러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전했다.
광주 최초의 민간산업단지로 기대를 모았던 '학동 일반산업단지' 조성이 또다시 난관에 봉착했다.
특대고시 문제를 풀어내자(2020년도 7월29일자 제9면 보도='팔당·대청호 상수원 공장설립 피해' 광주기업 구제 받는다) 이번엔 해당 지역 주민들이 반대목소리를 높이고 나섰다.
광주 초월읍 학동리 산140-1 일원에 5만9천여㎡ 규모로 추진중인 학동 산단은 2017년 경기도 산업단지 지정계획에 반영된 이후 순항하는 듯 했다.
그러나 2019년에 보전·생산관리지역을 공업지역으로의 변경을 금지(제한→금지)하는 특대고시 제15조가 개정되자 그해 9월 광주시는 환경부의 특대고시 규정에 따라 일반산업단지 계획 승인을 회송 처분했다.
이후 학동 산단 시행사인 (주)진우아이앤피 외 9개사는 행정심판을 청구했고, 이에 법원은 지난해 '회송통보 처분을 취소하라'고 조정 권고했다.
시는 이에 동의했고, 산업단지 내 공장설립의 길이 열리게 됐다. 지난달 시행사는 산업단지계획 승인신청서를 재접수했고, 시는 '개발에 따른 전략환경영향평가와 관련해 전략환경영향평가항목 등의 결정내용'을 공개 공고했다. 계획대로라면 올 연말 도의 산업단지계획 심의를 거쳐 내년도(2022년) 산업단지계획이 승인예정이다. 오는 2024년이면 건축물 준공 및 입주가 시작된다.
이에 대해 박상영 시의원은 "산단 예정지 인근 주민들의 반발이 상당하다. 산단이 주거지와 가깝고 업종 자체가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주민들이 전전긍긍하고 있다"며 "환경영향평가를 제대로 해야 할 것이다. 마을 앞은 산단, 뒤는 변전소냐며 항의하는 주민들이 적지않다"고 지적했다.
현자섭 시의원도 "학동·선동리 지역은 영세 제조업체들로 즐비하다. 암발생률이 높은 것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주민들이 어떡하냐며 계속 민원을 제기하는데 산단 입지에 앞서 다각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이미 2017년 산업단지 지정계획에 반영될때부터 반발해왔다. 인쇄업체들이 중심이 된 산단과 관련해 '유해물질 화학공단'이라며 반대했고, 생존권을 보장하라며 항의해왔다.
시 관계자는 "산단 입지와 관련해 협의체를 구성해서 의견을 조율할 것이다. 주거지에 녹지축을 만들던지 여러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전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