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사육 곰 탈출 사건으로 국내 사육 곰 관리 체계가 도마 위에 올랐다. 곰 사육 환경(7월 12일자 7면 보도=[반달가슴곰 탈출 농장 가보니] 생명을 상품처럼… 죽을날만 기다리는 사육 곰들)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 지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12일 녹색연합이 집계한 '곰 탈출 주요 사례'를 보면 2000년 이후 전국의 곰 탈출 사고는 용인 사례를 포함해 총 20건에 달한다. 그 중 경기도에서만 10마리 곰이 탈출했다.
'곰 탈출' 문제가 계속되는 건 왜일까. 동물권 보호 단체들은 '열악한 사육 환경'을 1순위로 꼽았다. 실제 지난 9일 찾은 용인의 곰 사육 농장은 오랫동안 사람 손길이 닿지 않은 탓인지 케이지 곳곳이 녹슬어 있었다. 사육 곰 한 마리당 21㎡의 생활 공간을 마련하는 게 법적 규정이지만 이조차도 지켜지지 않는 듯 보였다. 낡은 케이지 바닥의 벌어진 틈 사이로 2마리 곰이 탈출했다는 농장주의 말에서 시설 관리가 제대로 이뤄졌더라면 하는 아쉬움도 남았다. 그 중 한 마리는 일주일째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특히 이 농장에선 앞서 지난 2012년에도 두 차례나 곰이 탈출했고 농장주는 환경부의 시설 개선 명령 조치도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동물권 보호 단체에선 시설 개선, 법적 규제 등 사육 곰 관리 로드맵이 필요하다며 입을 모았다.
박은정 녹색연합 자연생태팀 활동가는 "한강청에서 1년에 2번 곰 사육 시설을 점검하는데 단순히 개체 수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시설 관리 및 계도가 이뤄져야 한다"고 꼬집었다. 또 "현재로선 2024년 완공 목표인 전남 구례의 '대형 포유류 보호 시설' 공사 기간을 단축 시켜서 하루 빨리 반달가슴곰이 체계적으로 관리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했다.
비폭력 직접행동 동물권 활동가들의 네트워크 DXE(Direct Action Everywhere) 소속 활동가는 "한 때 곰 사육을 지원하고 허용했던 국가에서도 책임 져야 할 문제"라면서 "곰이 자연 환경과 유사한 곳에서 살아갈 수 있는 '생츄어리' 등 사육 환경 개선도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동물자유연대 관계자 역시 "용인의 농장에서 수차례 고발 조치에도 꿈쩍 않는 이유는 강력한 처벌이 이뤄지지 않은 탓도 있다"고 지적했다.
12일 녹색연합이 집계한 '곰 탈출 주요 사례'를 보면 2000년 이후 전국의 곰 탈출 사고는 용인 사례를 포함해 총 20건에 달한다. 그 중 경기도에서만 10마리 곰이 탈출했다.
'곰 탈출' 문제가 계속되는 건 왜일까. 동물권 보호 단체들은 '열악한 사육 환경'을 1순위로 꼽았다. 실제 지난 9일 찾은 용인의 곰 사육 농장은 오랫동안 사람 손길이 닿지 않은 탓인지 케이지 곳곳이 녹슬어 있었다. 사육 곰 한 마리당 21㎡의 생활 공간을 마련하는 게 법적 규정이지만 이조차도 지켜지지 않는 듯 보였다. 낡은 케이지 바닥의 벌어진 틈 사이로 2마리 곰이 탈출했다는 농장주의 말에서 시설 관리가 제대로 이뤄졌더라면 하는 아쉬움도 남았다. 그 중 한 마리는 일주일째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특히 이 농장에선 앞서 지난 2012년에도 두 차례나 곰이 탈출했고 농장주는 환경부의 시설 개선 명령 조치도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동물권 보호 단체에선 시설 개선, 법적 규제 등 사육 곰 관리 로드맵이 필요하다며 입을 모았다.
박은정 녹색연합 자연생태팀 활동가는 "한강청에서 1년에 2번 곰 사육 시설을 점검하는데 단순히 개체 수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시설 관리 및 계도가 이뤄져야 한다"고 꼬집었다. 또 "현재로선 2024년 완공 목표인 전남 구례의 '대형 포유류 보호 시설' 공사 기간을 단축 시켜서 하루 빨리 반달가슴곰이 체계적으로 관리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했다.
비폭력 직접행동 동물권 활동가들의 네트워크 DXE(Direct Action Everywhere) 소속 활동가는 "한 때 곰 사육을 지원하고 허용했던 국가에서도 책임 져야 할 문제"라면서 "곰이 자연 환경과 유사한 곳에서 살아갈 수 있는 '생츄어리' 등 사육 환경 개선도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동물자유연대 관계자 역시 "용인의 농장에서 수차례 고발 조치에도 꿈쩍 않는 이유는 강력한 처벌이 이뤄지지 않은 탓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