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jpg
지난 9일 용인시 처인구의 한 곰 사육농장에서 반달가슴곰들이 녹슨 철장 안에서 생활하고 있다. 2021.7.9 /조수현 수습기자 naturelee@kyeongin.com

용인 사육 곰 탈출 사건으로 국내 사육 곰 관리 체계가 도마 위에 올랐다. 곰 사육 환경(7월 12일자 7면 보도=[반달가슴곰 탈출 농장 가보니] 생명을 상품처럼… 죽을날만 기다리는 사육 곰들)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 지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12일 녹색연합이 집계한 '곰 탈출 주요 사례'를 보면 2000년 이후 전국의 곰 탈출 사고는 용인 사례를 포함해 총 20건에 달한다. 그 중 경기도에서만 10마리 곰이 탈출했다.

'곰 탈출' 문제가 계속되는 건 왜일까. 동물권 보호 단체들은 '열악한 사육 환경'을 1순위로 꼽았다. 실제 지난 9일 찾은 용인의 곰 사육 농장은 오랫동안 사람 손길이 닿지 않은 탓인지 케이지 곳곳이 녹슬어 있었다. 사육 곰 한 마리당 21㎡의 생활 공간을 마련하는 게 법적 규정이지만 이조차도 지켜지지 않는 듯 보였다. 낡은 케이지 바닥의 벌어진 틈 사이로 2마리 곰이 탈출했다는 농장주의 말에서 시설 관리가 제대로 이뤄졌더라면 하는 아쉬움도 남았다. 그 중 한 마리는 일주일째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특히 이 농장에선 앞서 지난 2012년에도 두 차례나 곰이 탈출했고 농장주는 환경부의 시설 개선 명령 조치도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동물권 보호 단체에선 시설 개선, 법적 규제 등 사육 곰 관리 로드맵이 필요하다며 입을 모았다.

박은정 녹색연합 자연생태팀 활동가는 "한강청에서 1년에 2번 곰 사육 시설을 점검하는데 단순히 개체 수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시설 관리 및 계도가 이뤄져야 한다"고 꼬집었다. 또 "현재로선 2024년 완공 목표인 전남 구례의 '대형 포유류 보호 시설' 공사 기간을 단축 시켜서 하루 빨리 반달가슴곰이 체계적으로 관리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했다.

비폭력 직접행동 동물권 활동가들의 네트워크 DXE(Direct Action Everywhere) 소속 활동가는 "한 때 곰 사육을 지원하고 허용했던 국가에서도 책임 져야 할 문제"라면서 "곰이 자연 환경과 유사한 곳에서 살아갈 수 있는 '생츄어리' 등 사육 환경 개선도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동물자유연대 관계자 역시 "용인의 농장에서 수차례 고발 조치에도 꿈쩍 않는 이유는 강력한 처벌이 이뤄지지 않은 탓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시은기자 s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