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2310
과거 미군전용 바(Bar)였던 '힐사이드'를 개조해 지역커뮤니티문화예술공간 'ㅃㅃ보관소'를 운영하고 있는 조광희·김현주 작가. 2021.7.15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

1950~60년, 미군부대 옆 정착촌
공동체 붕괴 현실 '뻘'과 같은 곳
두 작가 마을유산 기록·보관 앞장


2021071601000644400030214




배나무가 많은 마을, '뺑'이라는 풀이 무성했던 자리, 한 번 들어오며 발을 뺄 수 없는 뻘과 같은 곳…. 마을 이름을 두고 해석이 분분한 '빼뻘'은 미군부대(캠프 스탠리)가 들어서면서 1950~60년대 형성된 정착촌이다. 고산동이라는 번듯한 행정명이 있지만 왜인지 의정부 사람들은 '빼뻘'이라는 명칭을 더 잘 쓴다.

빼뻘 주민들은 대부분의 경제활동을 미군에게 의존하며 살았다. 군복을 수선하고, 군용품을 팔고, 미군이 이용하는 식당과 주점을 운영했다. 그러다 주둔하던 미군이 점점 줄자 마을도 자연스럽게 쇠락의 길을 걸었다. 돈 번 사람은 대부분 떠나고 이제는 노인과 저소득층, 이주노동자만 주로 남았다.

전쟁으로 혼란스럽던 시기, 대부분 불법건축물로 만들어진 마을이다 보니 땅의 이용을 두고 분쟁이 빚어지기도 했다. 긴 갈등을 거치면서 주민 간 반목이 생기고 경제·사회적 격차가 벌어졌다.

그런 빼뻘에 2019년 김현주, 조광희 작가가 찾아왔다. 한국전쟁과 기지촌 삶에 대해 연구해 온 두 작가는 우연히 이 마을의 공동체 붕괴 현실을 접했고 그 뒤로 아예 자리를 잡게 됐다고 한다.

0710빼뻘보관소개소식풍경 (5)
지난 9일 열린 ㅃㅃ보관소 개소식에서 주민 참여 거리극이 진행되고 있다. 2021.7.9 /김현주 작가 제공

김현주 작가는 "처음 빼뻘에 왔을 때, 지나가던 고양이조차 이방인을 경계할 정도로 삼엄한 마을이었다"며 "과거 벌어진 갈등과 주민들 각자의 상황이 얽혀 감정의 골이 깊었다"고 회상했다.

그는 "어떤 이해관계와도 상관없이 주민들이 즐길 수 있는 예술과 누구나 드나들 수 있는 공간이 마을에 필요하다고 느꼈다"면서 이곳에 정착한 계기를 설명했다.

조광희 작가는 "빼뻘은 마치 도시 안 작은 섬처럼 수십 년 전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그 시절 그때 그 모습이 사라지기 전 남아있는 빼뻘의 유산을 잘 기록해 보관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렇게 두 작가는 지난 5월 미군전용 바 '힐사이드'를 빌린 뒤 의정부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문화공간을 만들기 시작했다. 'ㅃㅃ보관소'라고 이름 붙인 이 공간에선 앞으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과 공동체 활동이 이뤄질 예정이다.

0710빼뻘보관소개소식풍경 (10)
지난 9일 열린 ㅃㅃ보관소 개소식에서 주민 참여 거리극이 진행되고 있다. 2021.7.9 /김현주 작가 제공

지난 9일 열린 'ㅃㅃ보관소' 개소식은 주민들과 함께하는 거리극과 빼뻘을 주제로 한 작품 전시로 꾸며졌다. 거대한 사자탈이 등장하는 거리극은 그야말로 마을 잔치였다.

주민들은 직접 거리극에 앞서 가면과 소품을 만들며 참여했다. 이들은 빼뻘에 홀몸노인이 많다는 점에서 착안, 매월 주민들의 생일잔치를 여는 프로젝트도 기획하고 있다. 생일을 축하함으로써 그가 걸어온 삶에 대한 격려와 감사를 전하고 이를 마을 공동체의 연결고리로 삼는다는 구상이다.

김 작가는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은 모두 고유하고 아름답다고 생각한다"면서 "빼뻘 주민의 삶을 들여다보고, 소통하고, 공유함으로써 그들의 인생이 충분히 의미 있음을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의정부/김도란기자 dora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