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칼럼

[경인칼럼] 코로나 시대의 지역문화예술

3_조성면_-_전문가칼럼.jpg
조성면 객원논설위원·문학평론가
우리는 모두 '지역'에서 산다. 원칙적으로 우리는 모두 지역민이거나 지역의 문화예술인이다. 다만 전국적으로 또는 세계로 향하는 소통구조를 확보하고 있느냐 아니냐, 나아가 그럴 기회를 부여받을 만큼의 예술적 성취를 이루고 있느냐 아니냐 정도의 차이가 있을 따름이다.

코로나19, 정확히 말하자면 코비드19(COVLD-19)의 장기화는 전국 규모의 경제나 지역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입히고 있으며, 문화예술인들도 예외는 아니다. 최후의 경제적 보루인 국가재정을 투입하면서까지 재난지원금 등을 지급하고 있지만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는 자영업자나 예술인들의 어려움을 해결해 주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이를 지역문화예술로 국한시켜 놓고 보더라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코로나19에 따른 예술인 지원정책은 예술인들에게 직접 현금을 지원하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창작준비금이나 광역 또는 기초문화재단에서 시행하는 긴급재난지원 그리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추진했던 공공미술뉴딜사업 등이 있다. 그 밖에도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지만 예산 규모도 그러하거니와 예술인들이 피부로 체감할 만큼 지원이 충분하지 못하다. 


다양한 지원 불구 예술인들 피부로 체감못해
예산편성 효율성·적절한 집행인지 따져봐야


그런데 지금 예술인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 코로나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우리 지역문화예술의 정책과 문화예술계에 내재되어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들과 어려움이 코로나로 인해 조금 더 가속화한 것뿐인지 따져보아야 한다. 무작정 예산을 늘리고 투입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예산 편성의 효율성과 실정에 맞는 적실한 예산집행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따져 물어야 하고, 만일 이 부분이 미심쩍다면 현장의 문화예술인들 목소리를 듣고 그 의견을 청취하고 자문을 받아보는 것도 생각해볼 만하다. 그 의견 청취가 자문회의를 구성하고 결과보고를 문서형태로 남기고 하는 복잡한 행정적 절차나 편의주의에서 벗어나서 전화라든지 SNS를 활용한다든지 하는 보다 신속하고 실제적인 방식으로 진행해보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우리의 방역 체계는 철저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한 확산방지와 관리 그리고 이 틈을 이용한 백신 접종과 집단면역의 형성 그리고 게임체인저가 될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거나 기다리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방역 정책과 상관없이 코로나19는 현재 우리의 삶의 방식과 문화 그리고 구조와 제도가 절대로 지속가능하지 않은 것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지속가능하지 않음은 기후변화·인구감소·경제적 여건· 메타버스나 VR 등의 미디어 및 기술환경 변화에 따라서도 얼마든지 달라지고 뒤바뀔 수 있음을 코로나19가 입증하고 있다.


코로나 계기로 문화예술정책 되짚어볼 기회
현장목소리 반영하고 맞춤형으로 추진돼야




지금은 코로나19를 계기로 우리 문화예술 정책을 되짚어볼 좋은(원했던 바는 아니지만) 기회다. 현재까지의 지역문화예술정책은 복잡한 행정 절차와 의회 승인 등의 꼭 필요한 과정을(그러나 경우에 따라 거의 도움이 되지 않기도 하는) 여러 단계를 거쳐 시행되다 보니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기가 쉽지 않고 나아가 실제적인 맞춤형 예산편성과 정책이 추진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 문화예술정책을 시민참여와 시민 향유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 그러한지도 따져 물어봐야 한다. 시민들과 문화예술인들이 주체가 되는 정책과 함께 재단이나 유관기관은 팔길이 원칙(arm's length)에 따라 후원자가 될 뿐 개입하지 말아야 한다. 국가-지방정부-지역의회-산하기관 등으로 수직화한 체계와 구조에서는 창의적인 문화예술 정책과 지원이 이뤄지기 어렵다. 뱃사공이 너무 많고 문화예술행정을 집행하는 광역 내지 기초 재단 위에 군림하는 시어머니와 시누이가 지나치게 많은 것이다. 또 단체장의 교체에 따라 정책 방향과 인사마저 흔들리는 상황은 문화예술정책의 지속성과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소다. 코로나19가 우리에게 시련과 고통을 주고 있지만, 동시에 우리의 지역문화예술정책과 지역문화예술의 상황이 어떤지를 되돌아보게 만드는 고마운(?) 반면교사 역할을 하고 있다.

/조성면 객원논설위원·문학평론가



경인일보

제보안내

경인일보는 독자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자 신분은 경인일보 보도 준칙에 의해 철저히 보호되며,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취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제보 방법은 홈페이지 외에도 이메일 및 카카오톡을 통해 제보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 문의 : jebo@kyeongin.com
- 카카오톡 ID : @경인일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 수집항목 :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 수집목적 : 본인확인, 접수 및 결과 회신
  • 이용기간 :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에 해당정보를 지체없이 파기합니다.

기사제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 제보가 가능합니다.
단, 추가 취재가 필요한 제보자는 연락처를 정확히 입력해주시기 바랍니다.

*최대 용량 10MB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