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자가격리자에 대한 생활폐기물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환경부 지침에 따라 자가격리 과정에서 발생한 생활폐기물은 배출을 자제하면서 의료폐기물 전용 봉투에 담아 밀봉 후 종량제 봉투에 넣어 처리하게 돼 있다. 하지만 지자체마다 자가격리 기간 폐기물에 대한 관리가 제각각인 실정으로, 추가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기도 내 지자체들은 2주간의 자가격리기간 동안 증상이 발생하지 않으면 격리자에 지급한 의료용 전용봉투를 종량제 봉투에 넣어 직접 처리하고 있다. 만약 격리자가 확진 판정을 받으면 지자체가 별도 수거 업체를 통해 폐기물을 수거한다. 하지만 이런 기준에도 불구, 지자체마다 각기 다른 방식으로 처리되면서 방역에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한 지자체의 경우 자가격리기간 양성 판정을 받았을 때 가족과 지인이 배출 장소에 직접 버리도록 하고 있다. 또 다른 지자체는 의료용 전용봉투가 아닌 공공용 종량제 봉투에 넣어 버리게 하고 있다. 하루 2천 명 가까이 확진자가 발생하는 상황에 '관리 부실'이란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한 지자체에서는 재활용 선별장에 자가격리 중 코로나 감염 확진자가 배출한 쓰레기가 무더기로 발견됐다. 얼마 전에도 자가격리자가 배출한 쓰레기봉투가 다량 발견돼 선별작업을 중단하고 방역을 했던 지역이다. 이를 치우던 노동자들이 이 같은 쓰레기봉투가 또 발견되자 지자체 관계자를 찾아 항의하기도 했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하고 자가격리자 수도 많이 늘어나고 있지만, 생활폐기물 처리 행태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 특히 쓰레기를 처리하는 환경용역업체 직원들이 감염에 상시 노출돼 이들에 대한 예방 관리 필요성도 제기된다. 음성 판정을 받았더라도 자가격리 도중 확진 판정을 받은 경우 그동안 종량제 봉투에 넣어 처리했던 폐기물도 혹시 모를 감염에 노출될 수 있다.

지자체들은 인력과 예산 문제로 자가격리 폐기물 관리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중앙정부는 지자체 재량에 맡길 게 아니라 명확한 지침을 내리고 관리해야 한다. 그동안 하찮은 실수와 느슨한 경각심이 코로나 확진자를 증폭시킨 사례를 수없이 경험했다. 완벽한 방역태세만이 코로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자가격리 중에 배출되는 생활폐기물 관리와 처리 과정에 대한 점검과 개선이 시급하다. 지자체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