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내중 최재원
군포 궁내중 최재원
신문에서 특수 청소 전문가로 일하시는 분을 인터뷰한 글을 읽었다. 평소에 흔히 접해보지 못한 직업이었고, 인터뷰 내용을 통해 새로 알게 된 점들이 많았다. 글을 처음 읽고 정말 힘든 일이겠다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다.

그런데 인터뷰 내용을 몇 번 반복해서 정독하다 보니 이 직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이 자부심을 가지고 일하신다는 것을 알았다.

생의 마지막 흔적을 정리해주는 분이 있다. 바로 '특수 청소 전문가'라는 직업인데, 항상 방독면과 방호복, 수술용 장갑을 착용하고 경찰이 오가는 사건 현장에서 일하는 분들이다.

이분들은 가짜 명함과 가짜 안내문으로 자신의 직업을 위장한다. 왜 자신의 직업을 위장할까? 특수 청소 전문가는 경찰과 유족, 건물 주인 등의 의뢰로 범죄 현장이나 누군가 세상을 떠나고 방치된 자리를 청소하는 사람들이다. 죽음과 가까운 직업 특성상 주변에 알리고 싶어 하지 않는 의뢰인들이 많아서 직업을 숨기는 사람들이 많다. 


자부심 갖지만 직업 숨길때 많아
유품 정리 등 값진 일 존중받아야


특수 청소는 여러 과정에 걸쳐 이루어진다. 먼저 주변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이 청소를 허가했는지 확인한다. 허가를 받은 후 방독 마스크와 수술용 장갑, 신발 덮개 등을 착용하고 집에 들어가 사람의 흔적부터 치운다.

그 후에는 유가족의 의견에 따라 버릴 물건과 남길 물건을 분류하고 정리한다. 가족들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청소하는 것뿐 아니라 그 외의 과정도 중요할 것이다.

몇몇 사람들은 '유품'에 대해 선입견을 가지기도 한다. 죽은 사람이 과거에 썼던 물건이라는 점에서 께름칙하다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특수 청소 전문가들을 무시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한다.

유품이 재활용되어 쓰이거나, 새 주인을 만나 재탄생하는 경우가 정말 많다. 우리 주변에도 새로운 주인을 만나 제 역할을 하는 물건들이 분명 있을 것이다. 이렇게 값지고 소중한 일을 하는 이들에게 손가락질하고, 대놓고 무시하는 행동은 옳지 못하다.

앞으로 다양한 직업이 생기고,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준다면 특수 청소와 같은 일이 '죽음'에 대한 사람들의 일반적인 선입견을 깨 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죽은 사람들의 집을 마지막으로 흔적을 정리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 사람이 무슨 사연이 있었고, 또 무슨 삶을 살아왔는지 알 수 있다는 점에서는 흥미로울 것이다. 그리고 죽음은 두려워할 대상이 아닌, 우리 삶의 일부이기에, 이 일을 통해 죽음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군포 궁내중 최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