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단계적 일상회복인 '위드코로나'를 계획하며 포스트코로나 시대가 성큼 다가오면서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변화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특히 서울 등 장거리 출퇴근이 많은 경기도민은 대중교통 이용률이 높고 출퇴근 시간 혼잡률이 높은 것으로 악명높아 코로나 이후 혼잡률을 줄이는 대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코로나19 집단감염을 우려해 대중교통 대신 승용차로 출퇴근 하던 경기도민들이 다시 대중교통을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히며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경기연구원이 지난 4월 도민 2천1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위드코로나(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출근 교통수단을 바꾸겠다는 응답자가 전체 18%를 차지했다.
이를 경기 지역 경제활동인구(추정) 1천100만여명으로 환산해보면, 약 198만명의 도민이 출퇴근 교통수단을 대중교통으로 바꿀 의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경기도 내 한 차고지에 시내버스 등이 주차돼 있다. /경인일보DB
이 중 출근 교통수단을 대중교통으로 변경할 의사가 있다고 밝힌 응답자 중 15.8%는 코로나 발생 전에 대중교통을 이용했다가 코로나로 승용차 출퇴근을 하는 도민들이었다.
이로 인해 도민들은 위드코로나시대, 대중교통 이용 수요를 대비하기 위한 방역 대책으로 '혼잡률 완화'를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시내버스 대책에서 혼잡률 완화가 41.5%를 차지했고 뒤를 이어 차량 내부 방역 35.8%, 승객의 개인 방역물질 배치 6.8% 순으로 나타났다. 전철·지하철 대책에서도 혼잡률 완화는 50.0% 응답률을 보였는데, 이는 인파가 몰리는 출퇴근길 대중교통 혼잡문제에 대한 도민들의 우려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김채만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조사결과를 반영해 대중교통 차내 마스크 착용을 전제로, 차량 용량을 15.0% 감소(대형버스 용량 48명 → 40명) 운행하는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당장 11월 초부터 백신 접종완료자, 음성 판정자 등에게만 사적모임 제한 완화 등 방역을 푸는 '백신패스' 도입을 검토하고, 10월 말~11월 초 위드코로나를 계획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