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kaoTalk_20210729_150902735
지난 7월29일에 열린 가평군 장사시설의 합리적 방향을 위한 미래발전 군민 토론회. 2021.7.29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
 

1·2차 공모 무산 이후 소강 국면에 들어갔던 가평군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 사업(2020년 5월4일자 1면 보도=가평에 남양주·포천 참여 '공동형 장사시설' 추진, 이하 장사시설)이 다시 지역 이슈로 급부상, 결과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가평군 장사시설건립추진자문단이 '주민 제안사업' 형태로 장사시설 건립을 원점에서 재추진키로 하면서 반대대책위, 주민 간 갈등이 재점화될 전망이다. 

 

앞서 군이 장사시설 관련 지난 6월 반대대책위 측의 주민토론회 개최와 3차 공모를 추진하지 않을 것 등의 요구사항을 받아들이면서 갈등은 일단락됐다.

자문단 '주민 제안' 형태 건립 재시동
郡도 공모 아닌 자율제안 전환 입장


하지만 자문단은 군의 '미래발전 군민 대토론회', '가평군 장사시설 추진방향 설문조사'를 통한 군민 의견 등을 보고받은 후 주민 제안사업 형태로 장사시설 건립을 원점 재추진키로 결정했다. 군도 공모사업이 아닌 군민 자율 제안사업으로 전환·추진한다는 입장이다.

군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3차 공모가 아닌 주민 제안 사업으로 추진된다"며 "반대 대책위 등에서 요구한 주민토론회, 설문조사 등 군민 의견을 수렴한 결과를 토대로 자문단에서 결정한 사항이며 주민들 자율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반대측 토론 미참석 등 불공정 반발
郡 "개최 전 수차례 참석 요청" 반박


반면 건립사업 반대 측은 반대대책위 등이 참석하지 않은 군민 대토론회와 군의 의도가 담긴 설문조사 결과 등에 대해 '불공정한 행태'라고 지적하며 반발하고 있다.

정연수 반대대책위원장은 "가평군 '미래발전 군민 대토론회'는 가평군수 주민소환투표 서명 과정에서 나왔던 군민 의견은 제쳐놓고 가평군이 선정한 패널들로 구성해 개최됐다"며 "여론조사는 가평군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원정화장, 10배의 화장비 부담으로 불편하니 가평군에 화장터를 설치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진행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공고 내용을 자세히 살펴본 후 향후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군 측은 "토론회 개최 전 반대 대책위에 수차례 참석을 요청했다"며 "설문조사는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 국내 전문 기관에 의뢰한 결과물"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자문단은 지난 8일 14차 회의를 열고 장사시설 관련 제안사업공고 등 사업 추진 계획을 심의 의결했다. 부지면적은 10만㎡ 이상으로 화장시설, 봉안시설, 장례식장 등이 들어서며 단독·공동형의 규모는 신청마을의 자율 결정 사항이다.

자문단은 유치지역에 화장로 최소 3기 이상, 최대 10기 이하로 1기당 20억원 최대 2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치 마을(1개 이상 행정리)에는 수익시설 운영권과 일자리 제공, 화장 수수료 면제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가평/김민수기자 km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