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전국에서 외국인 주민이 줄어든 가운데 인천시가 유일하게 외국인 주민이 증가한 광역자치단체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가 16일 발표한 '2020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을 보면 지난해 인천시에 사는 외국인 주민은 13만845명으로 전년보다 553명 늘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덮친 지난해 인천시를 제외한 전국 모든 시·도에서 외국인 주민 수가 감소했다. 외국인 주민 감소 규모는 서울시가 2만2천623명으로 가장 많고, 경남 8천858명, 경북 6천643명 순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전국 외국인 주민은 214만6천748명으로 전년 221만6천612명보다 3.2% 감소했다. 기초자치단체 중에는 지난해 인천 부평구 외국인 주민이 전년보다 1천367명 늘어 경기도 부천(4천425명), 시흥(2천763명)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로 많이 증가했다. 


작년 13만845명, 전년比 553명 ↑
코로나로 타 광역단체 모두 감소
전국 214만6748명… 3.2% 줄어


인천시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은 2017년 10만4천441명으로 10만명을 돌파한 이후 2018년 11만5천720명, 2019년 13만292명으로 꾸준히 늘었다.

전국에서 외국인 주민 수가 줄어든 지난해에도 인천시만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인천에 외국인이 몰린다는 의미다. 외국인 인구수는 정부가 각 지자체에 보통교부세 등 재원을 내려보낼 때 고려되는 행정수요다.

그러나 외국인 주민 수가 아직 지자체 행정 수요로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외국인 대상 방역 업무 등은 한국인보다 더 많은 행정력을 필요로 했는데, 지자체 행정 조직 규모 산정 등에는 여전히 외국인 인구가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