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내 신규 코로나 19 확진자가 사흘째 1천500명대 안팎을 기록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에서 발생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이 한국에 상륙하면서 지역사회 감염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사적 모임 제한 등 추가 방역조치 방안을 발표했다.
경기지역 '1천465명'...전국 '4천944명'
3일 도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도내 신규 확진자는 1천465명으로 누적 13만8천11명이다. 전날(2일, 1천495명)보다 30명 줄었지만, 지난 1일 1천582명으로 역대 최다치를 찍고 사흘째 1천500명대를 이어가고 있다.
시·군별 확진자를 보면 고양시 122명, 수원시와 부천시 각 105명, 용인시와 성남시 각 80명 등이다. 도내 확진자 가운데 재택치료 중인 이들은 4천707명으로 전날에 이어 4천명대를 이어갔다. 도내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85.2%다.

이날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국 일일 신규 확진자는 4천944명(해외유입 21명)으로 여전히 5천명대에 가까운 규모를 이어가고 있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도 각각 736명과 34명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발생 확진자 4천923명 가운데 서울 2천94명, 경기 1천464명, 인천 306명으로 3천864명(약 78%)이 수도권 확진자다.
이에 더해 경기·인천지역에서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 감염 사례가 나오면서 우려는 커졌다.
현재까지 확인된 오미크론 누적 확진자는 6명이다.
나이지리아를 방문하고 돌아와 코로나에 확진됐던 인천 거주 40대 목사 부부와 이들의 이동을 도운 30대 남성, 목사 부부의 10대 아들, 이들과 별개로 나이지리아에서 귀국한 경기 거주 50대 여성 2명이다.
수도권 사적 모임 10명→6명 축소 등 방역대책 강화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이후 속출하는 확진자와 오미크론의 출현 등에 결국, 정부는 방역강화 카드를 택했다. 이번 강화된 방역대책은 오는 6일부터 4주간 시행되며 유행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먼저, 사적 모임 인권 규모가 조정된다. 현재 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수도권 10명, 비수도권 12명까지 사적 모임이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수도권 '6명', 비수도권 '8명'까지만 모일 수 있다. 다만 동거가족과 돌봄 등 기존의 예외범위는 계속 유지된다. 이번 대책에 영업시간 제한도 검토됐지만, 민생경제 등을 고려해 포함되지 않았다.

아울러 미접종자의 전파 차단을 위해 방역패스를 확대한다. 마스크 착용이 어려운 식당·카페에 대해 방역패스를 적용하되, 사적 모임 범위 내에서 미접종자 1명까지는 예외를 인정한다. 또한, 학원과 PC방, 영화관 등 실내 다중이용시설에도 방역패스를 확대한다.
기존 방역패스 의무 적용 시설에 더해 식당·카페, 학원, 영화관·공연장, 독서실·스터디카페, 멀티방(오락실 제외), PC방, 실내 스포츠경기장, 박물관·미술관·과학관, 파티룸, 도서관, 마사지·안마소가 추가된다. 방역패스가 적용되는 업소의 전자출입명부 사용도 의무화된다. 방역패스 확대 적용은 6일부터 시행하지만, 현장 혼란을 줄이기 위해 1주간 계도기간을 둔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감염을 막기 위해 방역패스 예외 범위를 현행 18세 이하에서 '11세 이하'로 조정하고 12~18세도 방역패스를 적용한다. 다만, 청소년이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을 고려해 시행은 내년 2월 1일부터 한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